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올해 전력수요 작년과 비슷"…최대전력수요는 8월 둘째주



산업일반

    "올해 전력수요 작년과 비슷"…최대전력수요는 8월 둘째주

    올해 최대전력수요 92.3GW…작년 93.6GW와 비슷하게 예상
    올 여름 최대 104.2GW 확보한 상황

    산업통상자원부 제공산업통상자원부 제공
    기상관측 이래 6월 최고기온 기록이 곳곳에서 깨지는 등 올 여름도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는 전력 수급은 안정적으로 관리될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여름 최대전력수요는 92.3GW(기가와트)로 더웠던 작년 여름(93.6GW)과 유사한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최대전력수요는 산업계 휴가 기간 후 조업률이 회복되는 8월 2주차 평일에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변수도 있다. 수도권 무더위로 냉방수요가 높은 가운데 남부지방에 구름이 유입돼 태양광 이용률이 낮아지는 예외적 상황에서는 97.2GW까지 전력수요가 상승할 수도 있다.
     
    전력 당국은 올여름 최대 104.2GW의 공급능력을 확보한 상태다. 지난 4월 상업 운전을 시작한 신한울 2호기를 비롯해 총 21기의 원전을 가동할 전망이며, 태양광 설비도 작년보다 2.7GW 늘어 전력수급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전력 당국은 또 발전기 고장, 이른 폭염 등 예상치 못한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수급관리 대책을 마련한 상태다.

    우선 예비력이 부족해지면 울산GPS복합, 통영천연가스 등 새로 건설한 발전기의 시운전을 투입하고, 그래도 예비력이 충분치 않으면 수요자원(DR), 석탄발전기 출력 상향운전, 전압 하향조정 등 최대 7.2GW의 비상예비자원을 가동할 계획이다.

    합리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수요관리도 병행한다.

    공공기관은 집중관리가 필요한 7월 3주부터 8월 3주까지는 피크시간대(16시 30분~ 17시 30분)에 냉방기를 순차적으로 30분씩 중단했다가 운영하도록 할 계획이다.

    만일 예비력이 5.5GW 미만이 될 것으로 예상되면 실내온도 기준을 상향 조정하는 등 추가적인 조치를 시행하게 된다.

    이와 함께 취약계층 하절기 에너지바우처 단가를 세대평균 5만 3천원으로 상향하고, 고효율기기 보급 규모 확대 등 냉방비 부담 완화 지원 정책도 추진한다.

    또 여름철 전기료 부담을 낮추기 위해 월 10만 원 이상의 전기요금을 납부하는 주택용 전기 소비자와 일정 증빙을 갖춘 소상공인·뿌리기업에 대해 7~9월분 전기요금을 2~6개월간 분할 납부하는 제도도 시행할 계획이다.

    전력당국은 이달 24일부터 9월 6일까지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기간'으로 정해 유관기관과 '수급대책 상황실'을 운영하면서 실시간 수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위기 시 예비자원을 즉시 투입하여 수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해나간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