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野 대권주자 1차 성적표…文 웃고 安·朴 울고



국회/정당

    野 대권주자 1차 성적표…文 웃고 安·朴 울고

    文, 총선이 2차 관문…安, 교섭단체 구성·정당지지율이 변수…朴, 총선 결과에 연동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 국민의 당 안철수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사진=자료사진)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지역구 및 비례대표 공천을 마무리하고 야권의 맹주를 차지하기 위한 본격적인 경쟁에 뛰어들었다.

    총선은 각 당과 후보자들 뿐만이 아니라 총선 이후를 바라보는 대권주자들에게도 '도약의 발판, '반전의 기회', '정치적 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주자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1차 성적표'인 공천 결과만 놓고 보면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선두로 꼽히지만 총선 결과에 따라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재도약할 수 있는 기회는 여전히 열려 있다.

    다만 박원순 서울시장은 원내에 지원세력을 확보한 뒤 대권주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 文, 잠재 원내세력(공천자) 다수 확보로 유리한 고지…2차 관문(총선결과) 넘어야

    공천 결과를 놓고 보면 문재인 전 대표가 수혜자로 꼽힌다. 당내 강경파를 김종인 비대위 대표의 손으로 정리하면서 문 전 대표가 외연을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졌고, 총선을 '김종인 간판'으로 치르게 되면서 총선 실패의 경우 직격탄까지 피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번 공천에서 친노(친노무현) 좌장격인 이해찬 의원과 신계륜, 노영민 의원 등 친노 중진, 정청래·김현 등 친노 강경파들은 대거 탈락했지만 김태년, 전해철, 홍영표, 박남춘, 진성준, 진선미 의원 등 친문(친문재인) 의원 다수가 공천을 받으면서 문 전 대표의 든든한 배경을 형성할 가능성이 커졌다.

    여기에 김경수(경남 김해을), 최인호(부산 사하갑), 정태호(서울 관악을) 등 원외 친문 인사들과 양향자(광주 서을), 김병관(경기 성남분당을), 오기형(서울 도봉을) 후보 등 문 전 대표가 영입한 인사들도 공천을 많이 받은 상태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대선후보를 결정하는 당내 경선은 당원과 대의원을 많이 장악하고 있는 현역 의원을 누가 얼마나 많이 확보하고 있느냐가 좌우한다"며 "우호적인 현역 의원이 많으면 대권에 한걸음 더 다가갔다고 평가하는데 이런 점에서 제1야당인 문재인 전 대표는 다른 야권 후보들보다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고 분석했다.

    최 교수는 다만 "더민주의 총선 결과가 저조할 경우 문 전 대표 대신 손학규 전 고문 등 다른 대권주자들에 대한 등판 요구가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도 "비례대표 공천안(案)에 대한 중앙위 반발 등으로 더민주 내 실질적인 영향력 행사자로서의 문 전 대표의 위상이 확인됐기 때문에 더민주의 총선 성적표에 따라 문 전 대표의 대권주자로서의 입지가 결정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희웅 센터장은 다만 "현재는 김종인 대표를 내세웠기 때문에 총선 결과가 좋지 않을 때 문 전 대표가 받을 타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측면은 있다"고 했다.

    ◇ 安, 측근 다수 경선탈락으로 아픔…본인 당선·교섭단체 구성, 변수로 남아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의 1차 성적표는 우수하지는 않다. 안철수 대표의 측근으로 꼽히는 인사들 중 다수가 당내 경선에서 고배를 마셨고, 창당 초기와 비교하면 당 지지율 역시 반토막이 됐기 때문이다.

    박왕규(서울 관악을), 서정성(광주 동남갑), 김경록(광주 광산갑) 후보 등 친안(친안철수) 인사들이 당내 경선에서 줄줄이 고배를 마시면서 원내에서 안철수 대표를 지원할 세력이 급격히 줄어든 상태다. 김성식(서울 관악갑), 이수봉(인천 계양갑) 후보가 공천을 받았지만 이들의 당선을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다만 안 대표 측 인사로 꼽히는 박선숙 사무총장, 채이배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 연구위원과 안 대표가 영입한 이상돈 선대위원장, 신용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오세정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등이 비례대표 안정권에 이름을 올리면서 최소한의 우호세력은 확보했다는 평가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대한민국은 정치적 가치보다 세(勢)가 우선이기 때문에 가치와 세가 충돌하면 세가 우선이다"며 "지난 대선 때는 안철수 대표가 정치를 바꿀 것이라는 가치가 강했기 때문에 이 둘(세와 가치)이 팽팽하게 맞설 수 있었지만 지금은 안 대표가 지향하는 가치가 흔들리고 있기 때문에 세력과 경쟁했을 때 안 대표가 불리한 여건이 만들어진 것은 사실"이라고 분석했다.

    국민의당의 교섭단체 구성 유무, 안 대표 자신의 당선 등이 변수가 된다는 분석도 있다.

    정치컨설팅업체 '민'의 박성민 대표는 "안 대표의 측근 몇 명이 의원이 되고 말고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며 "안 대표가 당선되고 국민의당이 교섭단체가 된다면 안 대표의 독자출마가 힘을 받겠지만 둘 중 하나라도 실패한다면 안 대표는 크게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유승민 의원의 공천배제 등 새누리당 공천 파동에 실망한 여권 지지층을 국민의당으로 얼마나 흡수시키는가에 따라 안 대표가 화려하게 부활할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

    ◇ 朴 측근, 원내진입 실패…총선 결과 따라 '구원투수' 역할 요구될 수도

    박원순 서울시장은 총선을 통해 당내 입지를 단단히 하려던 계획이 좌초되면서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박 시장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임종석(서울 은평을) 전 정무부시장과 권오중(서울 서대문을) 전 비서실장, 강희용(서울 동작을) 전 서울시의원이 당내 경선에서 탈락했고, 오성규(서울 노원갑) 전 서울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은 경선 포기를 선언했다.

    기동민(서울 성북을) 전 정무부시장만이 살아남았고, 오기형 변호사(서울 도봉을)가 전략공천되면서 고배를 마신 천준호 전 비서실장이 김기식 의원과의 경선에서 승리하면서 가까스로 본선 티켓을 거머쥔 상태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서울시장은 중앙정치에 떨어져 있어서 정치권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기 어려운데 원내세력 확보까지 어려워지면서 박 시장이 야권에서 대권주자로서 입지를 확보하는데 제약이 따를 것 같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다만 "이번 총선에서 야권의 성적이 부진해지고, 문 전 대표의 책임론이 커지면 대안으로 박 시장이 부각될 가능성은 있다"며 "다만 박 시장이 행정적인 성과로 주목을 받는다는 전제하에 가능한 시나리오"라고 전망했다.

    박성민 대표는 "행정가인 박원순 시장은 스스로 대선에 나오긴 어렵고 야권의 요구가 있으면 불려나올 수 있기 때문에 당내 기반 유무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분석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