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부산 산사태 원인은 두달 뒤"…경찰수사도 '일단 보류'



부산

    "부산 산사태 원인은 두달 뒤"…경찰수사도 '일단 보류'

    대한토목학회 연구팀 "붕괴지역 석탄재·폐기물 등이 혼합된 지층으로 이뤄져"
    매립 이뤄진 시기와 주체 등 정확한 원인은 2달 뒤 발표
    원인 규명 위한 경찰 수사도 "일단 보류"

    대한토목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는 4일 오후 3시 부산 연제구 연산동 토목회관 6층에서 '사하구 성토 비탈면 붕괴 원인분석 및 보강대책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사진=부산CBS 박진홍 기자)

     

    지난 10월 주민 4명의 목숨을 앗아간 부산 사하구 구평동 산사태 원인분석 중간보고회가 열렸지만, 구체적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붕괴 사고를 둘러싼 책임소재를 가릴 경찰 수사 등도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 의뢰로 산사태 원인조사를 맡은 대한토목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는 4일 오후 3시 부산 연제구 연산동 토목회관 6층에서 '사하구 성토 비탈면 붕괴 원인분석 및 보강대책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보고회에는 피해 유가족과 대한토목학회 연구팀, 책임 소재를 둘러싸고 공방을 벌이고 있는 사하구청·국방부와 땅 소유주 동아학숙, 부산시와 사하경찰서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붕괴가 발생한 지역은 원지반 위에 크게 3개의 매립 층으로 이뤄져 있었다.

    원지반 바로 위에 생활 쓰레기 등 각종 폐기물과 석탄 슬래그(찌꺼기), 토사가 혼합된 매립 층이 있었고, 그 위에는 석탄재가, 제일 위에는 예비군훈련장 연병장 조성을 위한 얇은 모래층이 있었다.

    또 연구팀은 1982년과 1996년, 2002년과 2015년에 일대를 찍은 항공사진을 분석한 결과, 이 매립 층은 1982년과 1996년 사이에 형성됐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주민 증언에 의하면 1982년에서 84년 사이에 사면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 부분은 조금 더 조사가 필요하다"고 단서를 달았다.

    이어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일대에 누적강우량 188mm가량의 집중호우가 내린 다음 날 매립 층이 붕괴한 것으로 보아 강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부산 사하구 구평동 산사태 현장에서 사면이 무너져 토사가 흘러내린 모습. (사진=부산CBS 박진홍 기자)

     

    다만 연구팀은 정확한 붕괴원인에 대해서는 극도로 말을 아꼈다.

    대한토목학회 정진교 책임연구원은 "오늘 발표내용은 붕괴원인 분석을 위해 조사한 기초자료에 불과해 현재로서는 붕괴원인을 추정할 수 없으며, 구체적인 원인은 2달가량 더 조사·분석한 뒤 최종 보고회에서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내용에 따라 본격적으로 수사에 나서려던 경찰도 난색을 보였다.

    보고회에 참석한 부산 사하경찰서 관계자는 "오늘 나온 내용만으로는 원인 규명을 위한 수사에 착수할 수 없어 최종 보고회까지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보고회 현장에서는 붕괴 책임소재를 둘러싸고 입장이 서로 다른 사하구청과 국방부 관계자 사이에 약간의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했다.

    국방부는 붕괴 사면 위 예비군훈련장 연병장까지만 군 소관이라는 입장이고, 사하구는 연병장 아래 석탄재 매립 등에 대해서도 군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원인 결과 발표를 기다려 온 피해 유가족들도 빈손으로 발길을 돌려야 했다.

    유가족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관계자는 "보고회에 참석한 유가족에게 주최 측이 자료도 제공하지 않아 아쉽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