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문 대통령, 차기 총리에 정세균 前의장 지명…언론브리핑 자처(종합)



대통령실

    문 대통령, 차기 총리에 정세균 前의장 지명…언론브리핑 자처(종합)

    "문재인 정부 제2대 국무총리로 정세균 의원님을 모시고자 한다"
    이낙연 총리에게도 "깊은 감사"
    "시대적 요구에 가장 잘 맞는 적임자가 정세균 후보자라 판단"
    "6선 국회의원으로 당대표와 국회의장 역임한 풍부한 경륜과 정치력 갖춘 분"
    "입법부 수장 출신을 국무총리로 모시는데 주저함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후 정세균 전 국회의장을 차기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했다 (사진=청와대·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정세균 전 국회의장을 차기 국무총리로 최종 지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직접 언론브리핑에 나서 "오늘 차기 국무총리 후보자를 지명하고, 지명 이유를 국민들께 직접 말씀드리고자 한다"며 "문재인 정부 제2대 국무총리로 정세균 의원님을 모시고자 한다"고 밝혔다.

    먼저 문 대통령은 문재인 정부 초대 총리를 지낸 이낙연 총리에 대한 사의를 표했다.

    문 대통령은 "먼저 정부 출범부터 지금까지 국정개혁의 기반을 마련하고 내각을 잘 이끌어주신 이낙연 총리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책임 총리로서의 역할에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셨고, 현장 중심 행정으로 국민과의 소통에도 부족함이 없었다"고 평가했다.

    또 "이낙연 총리님이 내각을 떠나는 것이 저로서는 매우 아쉽지만, 국민들로부터 폭넓은 신망을 받고있는 만큼, 이제 자신의 정치를 할 수 있도록 놓아드리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어떤 선택을 하든, 어느 자리에 서든, 계속 나라와 국민을 위해 봉사해주시리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차기 총리로 정세균 후보자에 대한 기대도 표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그동안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해 우리 사회의 낡은 시스템을 개혁하고, 혁신적이고 포용적이며 공정한 경제로 '함께 잘사는 나라'를 만들고자 노력해왔다"며 "그러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통합과 화합으로 국민의 힘을 하나로 모으고, 국민들께서 변화를 체감하실 수 있도록 민생과 경제에서 성과를 이뤄내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가장 잘 맞는 적임자가 정세균 후보자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세균 후보자는 우선 경제를 잘 아는 분"이라며 "성공한 실물 경제인 출신이며 참여정부 산업부장관으로 수출 3천억 불 시대를 열었다. 또한 6선의 국회의원으로 당대표와 국회의장을 역임한, 풍부한 경륜과 정치력을 갖춘 분"이라고 소개했다.

    국회의장 출신이 총리가 된 전례가 없어 고민했다는 솔직한 심경도 토로했다.

    문 대통령은 "무엇보다 정세균 후보자는 온화한 인품으로 대화와 타협을 중시하며 항상 경청의 정치를 펼쳐왔다"며 "저는 입법부 수장을 지내신 분을 국무총리로 모시는데 주저함이 있었다"고 털어놨다.

    이어 "그러나 갈등과 분열의 정치가 극심한 이 시기에 야당을 존중하면서 국민의 통합과 화합을 이끌 수 있는 능력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며 지명 배경을 설명했따.

    문 대통령은 "국내외 환경이 여러 가지로 어렵지만, 새 국무총리 후보자는 서로 화합하고 협력하며 민생과 경제를 우선하도록 내각을 이끌고, 국민들께 신뢰와 안정감을 드릴 것"이라며 "훌륭한 분을 총리 후보자로 지명하게 되어 감사드린다. '함께 잘사는 나라'를 이루는데 크게 기여해 주시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인사 관련 언론브리핑에 나선 것은 출범 첫해인 2017년 5월 10일 이낙연 국무총리와 서훈 국정원장 후보자, 같은 달 19일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21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 정의용 안보실장 인선 발표 후 이번이 네 번째다.

    문 대통령이 이날 직접 총리 지명에 나선 배경은 국회에서 내년도 예산안이 통과된 만큼 정부 부처를 총지휘할 총리 교체 문제가 빨리 해결돼야 정부부처들이 효율적으로 업무를 볼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초대 총리인 이낙연 총리가 내년 총선 지역구에 출마하기 위해서는 내년 1월 16일까지 공직에서 사퇴해야 한다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