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기고]제2, 제3의 이소선은 여전히 오늘을 산다



기고

    [기고]제2, 제3의 이소선은 여전히 오늘을 산다

    이소선에서 김미숙까지
    박창수가 죽고 김주익이 죽고
    노동자들의 어머니마저 아들 곁으로 갔다
    김용균 유품은 컵라면 세 개 김미숙은 일어났다
    동료 2700명은 정규직 전환 약속도 받았다

    (사진=자료사진)

     

    "물러가지 않으면 내가 뛰어내려 죽겠다!"

    경찰기동대는 건물 안과 맞은편 건물 옥상 등을 통해 물밀 듯 밀고 들어왔다. 민종덕은 결국 뛰어내려 척추가 부러진 채 병원으로 후송되었다. 이어 신승철이 "물러가라" 소리를 지르며 깨진 유리창으로 두 차례 배를 갈랐다.

    스무 살의 재단보조 박해창은 동맥을 끊겠다며 팔을 15cm가량 그었다. 이와 동시에 노동자들은 방 안에 있던 신문지 등을 모아서 휘발유를 뿌리고 "다 같이 죽자!"고 울부짖었다.

    "어머니를 모셔 와라! 모셔 오지 않으면 모두 다 죽어버리겠다."

    이어서 스물한 살 재단보조공 김주삼이 유리 조각으로 배를 몇 차례 그었고, 전태일의 여동생인 스물다섯 살 전순옥이 웃통을 벗어서 아래로 던지고 창문으로 올라가 땅으로 뛰어내렸다. 전순옥의 다리 한쪽을 간신히 잡고 늘어진 여성노동자들이 비명을 지르며 그를 끌어올렸다.

    이어서 열아홉 살 미싱보조 임미경이 웃통을 벗고 유리 조각을 집어 들고 다른 창문 위로 뛰어 올라갔다. "제2의 전태일은 여자가 되어야 한다. 딴 사람 희생할 것 없이 내가 죽겠다!"라고 소리치면서 "놔요, 놔요"라며 울부짖었다.

    1977년 9월9일이었다. 모든 집회, 시위, 결사의 자유가 봉쇄된 긴급조치 하 겨울공화국 시절, 박정희 정권은 청계피복노조의 노동 교실을 강제로 폐쇄하고, 이소선을 구속했다.

    "노동 교실을 돌려달라!", "어머니를 석방하라!" 전태일의 영정이 걸린 노동 교실과, 1970년대 민주노조운동의 중심이었던 청계피복노조, 그리고 온갖 회유와 협박에도 불구하고 청계천 어린 동심들의 어머니로, 모든 노동자의 어머니로 다시 태어난 이소선을 그들은 다시 빼앗길 수 없었다. 민주노조운동의 출발, 새로운 한국사회 민주주의 투쟁의 시작이었다.

    "영진이 어딨느냐. 영진아… 나, 태일이 엄마다."

    "정말입니까. 전태일 어머니 맞습니까."

    "어머니, 나는 운 좋은 놈입니다."

    "그 꼴을 하고 뭐가 운이 좋다는 거냐?"

    "어머니를 만났잖아요. 태일이 형한테 가면 어머니 만난 얘기도 할 수 있고요. … 태일이 형한테 가면 어머니께서 노동자를 위해 살아오신 얘기 전해 드릴게요."

    "살아서 싸워야지, 태일이한테 뭐하러 가냐."

    1986년 3월17일 구로공단 신흥정밀에서 일하던 박영진과 동료 여덟 명이 점심시간 식당 구내에서 비참한 노동조건 개선을 요구하는 유인물을 낭독하고 농성에 들어갔다. 금세 구사대와 전투경찰들이 달려왔다. "열 셀 때까지 물러서지 않으면 분신하겠다"라고 경고했지만, 경찰들은 "불붙여 봐, 어서 죽어봐!"라고 비웃으며 천천히 다가왔다.

    "…아홉, 열!" 불길이 타올랐다. "근로기준법을 지켜라!", "노동삼권 보장하라!".

    구두닦이, 신문배달원, 페인트공으로 살다 스무살 언저리에 구로공장 노동자가 된 스물일곱 박영진은 '전태일 평전'을 늘 끼고 다니던 선한 청년이었다. 이소선 어머니가 "영진아, 영진아"하며 눈물을 흘리며 막무가내로 뛰어들자 삼엄하게 지키고 있던 경찰들도 진짜 어머니인 줄 알고 길을 비켜 주었다.

    병상의 박영진은 '태일이 형한테 가면 어머니께서 노동자를 위해 살아오신 얘기를 전해주겠다'고 한다. 이런 눈물겨운 '인편'이 이 세상 어디에 있을까. 박영진은 마석 모란공원 전태일 묘소 바로 아래에 묻혔다.

    "위험한 물건 내놔라."

    "없어요. 어머니."

    "저건 뭐냐? 죽기를 작정했냐."

    옥상 농성장 옆 사측의 폐회로티브이(CCTV) 쇠기둥 끝에 매어 둔 목 올가미였다. 어머니는 칼을 찾아들고 단숨에 달려가 올가미를 쓱쓱 베어 버렸다.

    "죽는 건 태일이 하나로 족해. 이년들아, 살아서 싸워."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 고(故) 이소선 여사(사진=자료사진)

     

    2008년 8월 무덥던 날. 문자로 '낼부터 나오지 마시오. 사유 : 근무 중 잡담'하면 끝이었던 기륭전자 비정규직 농성장으로 연로해 거동이 쉽잖은 어머니께서 불쑥 쳐들어오셨다.

    김소연, 유흥희 두 여성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소복을 입은 채 예의 목줄을 걸어두고 60여일째 단식농성 중이던 현장. 전태일 열사 사후 38년이 지나던 때였지만 노동자들 삶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국어사전에도 없던 말 '비정규직'으로 내몰린 이들이 당시 960만 명이었다. 지금은 정부 공식통계로 1100만 명이다. 단식은 96일에 이르러서야 수많은 이들의 분노와 통곡 속에 중단되었다.

    "진숙아, 내려와라, 내려와서 나하고 함께 싸우자. 박창수가 죽고 김주익이 죽고 곽재규가 죽어 간 그곳에서 너까지 죽는 것 나는 못 본다. 제발 내려와라!"

    "어머니! 열여덟 살에 먹고 살겠다고 하루 12시간, 13시간, 어떤 때는 잠자는 시간도 없이 1주일씩 곱빼기 철야를 하면서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뭘 알았겠습니까? 불량 냈다고 조장한테 따귀를 맞고도 기숙사 베갯잇 젖도록 우는 것밖에 모르던 아이가 노동법을 알았겠습니까? 권리가 뭔지를 알았겠습니까? 어머니 걱정하지 마십시오. 예나 지금이나 노동자 목숨을 파리 목숨으로 아는 저들에게 노동자가 세상의 주인임을 꼭 보여주겠습니다."

    2008년 친구 김주익이 목을 매단 부산 한진중공업 85호 크레인 위에 올라가 다시 309일을 고공농성 해야 했던 김진숙. 행상, 식모, 미싱공, 버스안내양을 거쳐 스물한 살에 부산 한진중공업 최초의 여성용접공으로 입사한 그. 스물여섯에 해고되고, 대공분실 세 번 끌려갔다 오고, 징역 두 번 갔다 오고, 수배생활 5년하고 보니 청춘이 그렇게 흘러 쉰두 살이 되어 있더라는 그.

    어머니는 유가협 어머니, 아버지들과 85호 크레인을 찾은 후로도 "내가 거기 가서 죽더라도 이번에는 꼭 가야겠다"고 병상에서 몇 번이나 고집을 부리셨지만 일어나실 수 없었다. 그해 9월6일 눈을 감으신 '노동자들의 어머니', '한국 근대 민주주의의 어머니'.

    "영정으로라도 그토록 소망이시던 희망버스를 태워드려야 하지 않겠습니까." 수배 중이던 사무실 한 쪽에 어머니의 작은 분향소를 차려두고 그토록 좋아하시던 담배 한 대, 소주 한 잔 올려드리곤 사람들에게 전화하기 시작했다. 김진숙에게로 가는 '어머니의 희망버스'였다.

    "엄마, 힘들어."

    "진즉 말하지. 힘들면 그만둬도 돼. 그 회사 나오면 안 될까?"

    "아니야. 일단 여기서 할 수 있는 때까지 해볼게."

    2018년 12월11일. 청년은 24시간 쉬지 않고 돌아가는 컨베이어벨트에 말려 들어가 몸통과 머리가 분리된 채 새벽 3시10분 발견되었다. 스물네 살, 김용균이었다. 지난 몇 년 사이 비정규직들만 12명이 죽어간 태안화력발전소. 월급은 간신히 법정 최저임금. 2인1조 근무수칙은 머나먼 말. 랜턴 하나 지급되지 않았다. 유품은 컵라면 세 개.

    "이게 나라입니까…. 내가 너야. 네가 죽임을 당한 날 나도 죽었어."

    김용균의 어머니 김미숙은 62일 동안 차가운 냉동고를 지키며 싸웠다. 1년마다 2400여명이 일수 붓듯 죽어가고, 그들 대부분이 '비정규직'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삼성반도체공장에서 스물두 살 황유미를 잃은 황상기 아버지, 열아홉 살 현장실습생 이민호를 잃은 이상영 아버지, 세월호 유가족분들이 찾아와 "이겨내야 한다"고 꼭 껴안아 주었다.

    그 캄캄한 투쟁이 28년 만에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을 끌어냈다. 김용균의 동료들 2700여명은 정규직 전환 약속도 받았다. 김미숙은 그 후 천몇백 번째 이소선이 되어 눈물겨운 전국의 현장을 찾아다니며 오늘을 살고 있다.

    ※일부 내용은 <전태일 평전="">과 <이소선 평전="">등에서 빌려 왔습니다

    ※이 기사(글)은 11월 9일 나온 <전태일50> 신문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전태일50> 신문은 전태일 서거 50주년을 맞아 오늘날 전태일들의 이야기를 신문으로 만들겠다는 현직 언론사 기자들과 사진가들, 비정규노동자의집 꿀잠, 비정규직 이제그만, 직장갑질119의 활동가들이 모여 만들었습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