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아파트 전세 25.9% '깡통 전세' 의심



부동산

    아파트 전세 25.9% '깡통 전세' 의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54.3%…4채 중 1채는 전세가율 80% 넘는 깡통전세 의심거래

    연합뉴스연합뉴스
    아파트 매매가격이 하락하고 전세가격은 상승하는 추세가 지속되면서 전세가율(매매 대비 전세가격 비율)도 다시 오르고 있다. 지방 일부 지역의 경우 전세보증금이 매매가의 80% 이상인 거래비중이 늘고 있어 전세 임차인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1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54.3%(16일 부동산R114 시세 기준)으로, 지난해 7월 21일 53.9%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조사됐다.


    아파트 매매와 전세간 가격 차이도 줄었다.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통해 분기별로 같은 아파트(동일단지 및 면적)에서 매매와 전세계약이 모두 1건 이상 체결된 사례를 찾아, 실거래 최고가의 격차를 확인한 결과 전국 아파트 매매와 전세간 거래가 격차는 2023년 1분기 6847만원에서 3분기 1억1587만원으로 확대됐다가 4분기 들어 5325만원, 2024년 1월 4332만원으로 다시 축소됐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지역별 매매와 전세간 가격 차는 서울이 4억6592만원으로 가장 컸고 △경북(427만원) △전북(922만원) △충북(1,541만원) 등은 작았다.

    부동산R114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전세와 매매 간 가격 차가 좁아지면 갭투자, 깡통전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주택시장이 위축된 지방에서 전세가율이 높게 형성돼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갭투자 등 투자수요 활성화에는 한계가 있으며, 오히려 '깡통전세'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국 아파트 실거래 자료를 통해 매매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80% 이상으로 '깡통전세'가 의심되는 거래비중을 살펴본 결과, 2023년 2분기 19.4%(2만4152건 중 4691건) 수준이던 깡통전세 의심 거래는 4분기 25.9%(2만1560건 중 5594건)으로 비중이 확대됐다.

    지역별로 2023년 4분기 전세가율이 80% 이상인 거래비중은 △전북(57.3%) △충북(55.3%) △경북(54.2%) △경남(48.1%) 등 지방이 높았고, △서울(5.1%) △세종(7.5%) △제주(12.9%) △경기(19.0%) 인천(19.9%) 등은 낮았다.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매매는 시세 대비 저렴한 급매물 위주로, 전세는 이전 대비 오른 가격으로 계약되고 있어서 실거래가로 살펴본 '깡통전세' 비중은 실제보다 과다하게 계산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아파트값 하락, 전셋값 상승으로 전세가율이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방 소도시 중심으로 깡통전세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시점으로 판단되고 이런 주택은 전세금보증보험 가입이 제한되거나, 보증금 반환이 어려울 수 있어 거래 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