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흑돼지 미끄럼틀쇼·원숭이 팔굽혀펴기…사실은 고통의 쇼"



사회 일반

    "흑돼지 미끄럼틀쇼·원숭이 팔굽혀펴기…사실은 고통의 쇼"

    흑돼지, 코끼리, 원숭이, 돌고래...
    훈련 과정? "묶어놓고 고문하듯이"
    동물 체험장, 등록만 하면 누구나
    기준 엄격하지 않아 사람에게도 위험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이형주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대표)

    {IMG:3} 나들이, 여행이 많은 계절이죠. 여러분, 혹시 돌고래쇼 보신 적 있습니까? 동물 체험장도 많이 가보셨죠. 사실 이것만 놓고도 학대냐 아니냐 논란이 되고는 하는데 제주도에 가면 기상천외한 동물쇼가 곳곳에서 펼쳐지고 있답니다. 흑돼지가 물 미끄럼틀을 타는 쇼, 예민한 곳을 다 제거당한 코끼리가 농구를 하는 쇼.,, 이런 것들이라는데 이게 무슨 소리일까요? 화제의 인터뷰.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의 이형주 대표 연결이 돼 있습니다. 이 대표님, 안녕하세요?

    ◆ 이형주> 안녕하세요.

    ◇ 김현정> 흑돼지쇼요?

    ◆ 이형주> 네, 맞습니다.

    ◇ 김현정> 흑돼지쇼라는 건 제주도 많이 갔어도 처음 들어보는데 이게 뭐 하는 쇼입니까?

    ◆ 이형주> 사실 운영이 된 지는 굉장히 오래됐고요. 돼지를 수십 마리를 높은 계단으로 올라가도록 몰아서 물이 흐르는 미끄럼틀에서 미끄러지도록 유도를 하는 그런 볼거리예요.

    ◇ 김현정> 지금 주신 영상들을 제가 보니까 물 미끄럼틀. 사람이 타는 그런 미끄럼틀에다가 물을 흐르게 해 놓고 계단을 막 떼 지어서 올라가서 미끄럼을 쭉 타고 내려오는데... 이게 언뜻 보면 재미있어하는 것처럼 보여요. 돼지는 얼굴 자체가 웃는 상이어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런데 이건 굉장히 인간 중심적인 사고인 거죠?

    ◆ 이형주> 그렇죠. 사실 돼지는 습성상 그렇게 높은 곳을 올라가서 미끄럼을 타고 내려온다든가 사실 그런 동물은 아니거든요. 미끄럼틀 밑에 사료가 있다는 걸 알기 때문에 무리를 해서라도 높은 곳을 올라갔다가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오는 것이고요.

    ◇ 김현정> 내려오자마자 사료통으로 가서 막 허겁지겁 밥을 먹더라고요?

    ◆ 이형주> 네. 맞습니다.

    ◇ 김현정> 코끼리쇼에서는 코끼리가 축구하고 농구하고. 이게 맞습니까?

    ◆ 이형주> 그런 축구, 농구뿐만 아니라 사실 두 발로 걷는다든지 쓰러지는 연기를 하면 간호사 모자를 쓴 코끼리가 달려오는 연극을 연출을 한다든지 아니면 누운 관람객을 코로 마사지를 하거나 그런 관람객을 발로 넘어서 지나가는 그런 위험한 내용까지 좀 담고 있어서 문제가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 김현정> 아니, 코끼리가 간호사 복장을 하고 배 마사지를 해 준다? 어떻게 훈련을 시키면 코끼리가 그런 걸 할 수 있죠?

    ◆ 이형주> 이런 코끼리들은 어렸을 때 포획되어서 사람의 말을 듣게 하기 위해서 며칠 동안 이런 틀에 사지를 묶고 몸을 불혹이라고 하는 날카로운 기구로 찌른다든가 때린다든가 잠을 못 자게 한다든가 이런 가혹 행위. 그러니까 고문 행위를 하면서 사람 말에 복종하도록 만드는 그런 과정이죠.

    ◇ 김현정> 어렸을 적에 그렇게 하고 나면 그다음부터는 고분고분 사람이 시키는 대로 다 하게 되는 건가요?

    ◆ 이형주> 그렇죠.

    ◇ 김현정> 또 어떤 게 있습니까?

    ◆ 이형주> 원숭이, 바다사자, 돌고래쇼를 한꺼번에 보여주기도 하는데요. 원숭이가 팔굽혀펴기를 한다든지 장대를 사용해서 걷는다든지 그런 이를테면 묘기를 보여주는 쇼인데 이런 것은 굉장히 전근대적인 전시 방법이거든요. 그리고 사실 원숭이 같은 경우에는 이렇게 두 발로만 서 있게 하려고 하면 앞발을 뒤로 묶는다든가 이런 방법은 굉장히 많이 쓰이고 있어요.

    ◇ 김현정> 지금 소개된 것들이 그러니까 제주도 곳곳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들인가요?

    ◆ 이형주> 곳곳에 있습니다. 또 돌고래 체험장이 있는데요. 거의 사육자가 결박 상태처럼 못 움직이도록 지느러미 같은 곳을 잡고 관람객들은 계속해서 몸의 앞뒷면을 만진다든가, 밀착해서. 이런 방식으로 체험이 운영되고 있어요.

    ◇ 김현정> 그러면 지금 제주도의 소개해 주신 그런 쇼들, 체험장들. 이게 다 불법인가요?

    ◆ 이형주> 불법은 아닙니다. 기본적인 요건을 갖추고 관할 지자체에 등록을 하면 운영을 할 수 있고요. 다만 이 기준 자체가 굉장히 미흡하고 그리고 두 번째는 이게 정말 동물에게 고통을 주는 방법으로 아니면 사람들한테 위험을 끼칠 수 있는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관리 감독이 필요하잖아요. 그런데 그런 관리 감독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에요.

    ◇ 김현정> 허가제가 아니라 그냥 등록하면 할 수 있고 그 등록할 때 기준이 있기는 있는데 그게 허술하다?

    ◆ 이형주> 네, 맞습니다. 시설을 갖추지 못해서 사실 안전사고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 김현정> 예를 들면 들면 어떤 걸 목격하셨어요?

    {IMG:2}◆ 이형주> 가령 체험 시설에 갔다가 라쿤한테 다리를 뜯겼다든지 이런 분들도 계시고 또 사육사들도 사실은 그런 위험에 처해 있어요. 가령 몇 달 전만 해도 이런 체험형 동물원에서 곰한테 다리 피부를 뜯긴 사육사의 사고가 보도가 되기도 했고요. 이런 사고들이 계속 발생을 하지만 사실 일반에 잘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고요.

    ◇ 김현정> 안전상의 문제. 그러니까 우리 구경하는 사람의 안전상의 문제 또 동물들을 위해서도 지금 이대로는 안 된다는 주장이신데 아예 그래서 동물원을 없애자. 이런 주장이신 거예요? 아니면 법을 강화하는 쪽으로 가자는 주장이세요?

    ◆ 이형주> 동물원, 수족관을 폐지해야 된다는 것이 아니라 동물원, 수족관이 존재를 해야 한다면 적어도 동물한테 고통을 주는 방법으로 전시를 하거나 사람한테 위험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잖아요. 그래서 동물 복지와 그런 공중보건, 관람객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들고 그 기준에 부합하는 시설이 정부의 관리를 받아서 운영될 수 있게 하자는 거죠.

    ◇ 김현정> 알겠습니다. 흑돼지쇼 보면서, 코끼리쇼, 돌고래쇼 보면서 이게 그냥 교감이구나 혹은 아이들에게 좋은 체험을 해 주는 거구나라고 생각하셨던 분들. 오늘 한번 곰곰이 다시 생각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 이형주> 감사합니다.

    ◇ 김현정>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이형주 대표였습니다. (속기=한국스마트속기협회)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