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기재 1차관 "금리 상승 따른 가계 부채 부담 상승 우려"



경제 일반

    기재 1차관 "금리 상승 따른 가계 부채 부담 상승 우려"

    "국제금융시장 불안 요인 상존, 우리 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 세심히 살펴야"

    기획재정부 이억원(오른쪽에서 두 번째) 제1차관이 20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기획재정부 이억원 제1차관이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와 기업의 부채 부담 상승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냈다.

    이억원 차관은 20일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국제금융시장이 최근 안정을 찾는 모습이지만, 불안 요인들이 상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을 확대할 수 있는 불안 요인으로 이 차관은 크게 세 가지 측면을 거론했다.

    첫째는 금융시장이 상당 기간 저물가·저금리에 적응된 상태인 만큼, 물가 및 금리 상승 우려가 크게 불거질 경우 시장이 발작적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다.

    둘째는 신흥국 경기 회복이 선진국보다 더뎌지는 '불균등 회복 양상'이다.

    신흥국으로부터의 자금 유출 압력이 커지며 금융시장에 부정적 여파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는 미국과 중국 간 갈등, 중동지역 긴장 고조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가져올 수 있는 충격이다.

    이 차관은 "국제금융시장 불안 요인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여파는 물론 우리 경제에 나타날 수 있는 파생적 영향을 더욱 폭넓고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 파생적 영향으로 이 차관은 금리 상승이 가져올 수 있는 가계·기업의 부채 부담 상승,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 부담 증가 등을 꼽았다

    이와 관련해 이 차관은 "취약 부문 부담 완화를 위한 서민금융 공급 확대, 신용등급 하락 기업에 대한 대출 영향 최소화 등을 착실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식용 옥수수 등 수입 곡물 긴급 할당관세 0% 한시 적용과 비철금속 비축 물량 할인 방출 등 원자재 가격 상승 부담 완화 노력도 지속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