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특수본, 이태원역 등 8곳 압수수색 완료…확보 자료 분석



사건/사고

    특수본, 이태원역 등 8곳 압수수색 완료…확보 자료 분석

    이태원 참사 당시 부실 대응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청 특별수사본부가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을 압수수색한 후 청사를 나서고 있다. 류영주 기자이태원 참사 당시 부실 대응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청 특별수사본부가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을 압수수색한 후 청사를 나서고 있다. 류영주 기자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을 수사하는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는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등 8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마친 뒤 확보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3일 특수본에 따르면 전날(2일) 오후 2시부터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서울시소방재난본부 서울종합방재센터, 용산소방서, 서울교통공사, 다산콜센터, 이태원역 등에 수사 인력을 보내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서울청, 용산서, 용산구청, 서울시소방재난본부 서울종합방재센터, 용산소방서, 서울교통공사의 경우 전날 오후 7시 전후로 압수수색을 마쳤고 다산콜센터는 오후 9시 33분쯤 압수수색을 종료했다.

    이태원역은 역장과의 만남이 이뤄지지 않아 압수수색을 진행하지 못했지만, 추후 협의를 통해 이날 새벽 2시쯤 압수수색을 완료했다.


    앞서 윤희근 경찰청장은 이태원 참사 당일 112신고 대응 부실을 인정하며 수사의 독립성이 보장된 특별수사본부를 꾸리겠다고 밝혔다. 특수본은 손제한 경무관(경남청 창원중부서장)을 본부장으로 총 501명으로 편성됐으며 이날 출범했다. 이태원 참사와 관련 특수본이 강제수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강제수사에 있어 중점 수사 대상은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과 용산경찰서 112치안상황실, 용산경찰서 정보과 등이다. 112 신고 관련 자료와 핼러윈 경비 계획 문건 등을 확보한 경찰은 적절한 대응 및 조치를 취했는지 따져볼 전망이다.

    2일 오후 서울 용산경찰서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 관계자가 청사에서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2일 오후 서울 용산경찰서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 관계자가 청사에서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특히 참사 당일 사고가 일어나기 직전까지 11건의 112신고를 받은 담당 경찰관들이 직무상 책임을 다했는지, 신고 상황을 전파받은 각급 지휘관과 근무자들의 조치는 적절했는지 등을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용산구청과 관련해선 구청장실과 안전재난과 등 관련 부서에서 자료를 확보했다. 용산구청은 지난달 26일 경찰서와 이태원역 등과 '핼러윈 안전 대책 간담회'를 열었지만 적절한 안전 대책을 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아울러 특수본은 용산소방서와 서울종합방재센터 서울소방재난본부, 다산콜센터의 경우 각각 상황실을 압수수색해 참사 관련 신고 내역 등을 확보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