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北, 美 'WMD 대응전략'에 "미국이야말로 WMD 위협" 응수



통일/북한

    北, 美 'WMD 대응전략'에 "미국이야말로 WMD 위협" 응수

    북한 전술핵탄두. 연합뉴스북한 전술핵탄두. 연합뉴스
    북한은 미 국방부가 지난 28일(현지시간) 9년 만에 업데이트한 대량살상무기(WMD) 대응 전략에서 북한을 지속적인 위협으로 지목한 것을 두고 "자주적인 주권국가들에 대한 또 하나의 엄중한 군사정치적 도발"이라며 반발했다.

    북한 국방성 대변인은 4일 오전 담화를 내고 "《지속적인 위협》에 대해 말한다면 지난 세기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을 《적국》으로 규정하고 사상 유례 없는 핵위협과 공박을 계단식으로 확장 강화해온 세계 최대의 대량살상무기 보유국이며 유일무이한 핵 전범국인 미국에 어울리는 가장 적중한 표현일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그러면서 "올해에 들어와서만도 미국은 우리 국가에 대한 《종말》, 《절멸》과 같은 허세적이며 망상적인 망언들을 연발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연합훈련들을 감행하였으며 우리 국가에 대한 핵무기 사용을 정책화한 전쟁 각본에 따라 핵공격 모의기구를 가동시켰다"며 "한 개 국가를 초토화하고도 남을 핵탄두를 장비한 전략핵잠수함(SSBN)까지 조선반도(한반도)지역에 끌어다 놓은 미국의 무분별한 망동이야말로 전 지구를 파멸시킬 가장 엄중한 대량살상무기 위협이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 국방부는 9년만에 업데이트한 '2023 WMD 대응 전략'에서 북한이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전력을 우선시 해왔다면서 "북한의 역량 개발은 북한이 물리적 충돌의 어느 단계에서든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또 "북한은 미국 본토와 역내 동맹 및 파트너를 위험에 빠뜨리는 이동식 단거리, 중거리와 대륙간 핵 역량을 개발해 배치하고 있다"고, 지난해 9월 핵 독트린을 명시한 '핵무력정책' 법제화를 거론하며 "자체 선언한 핵보유국 지위를 재확인하고, 핵 사용 조건을 정립했으며, 비핵화를 거부했다"고 평가했다.

    국방성 대변인은 "미국은 자주적인 주권국가들의 자주권과 안전리익을 대량살상무기 위협으로 엄중히 침해하고 전세계에 대한 저들의 군사적 패권 야망을 실현하려는 위험천만한 침략적 기도를 여실히 드러냈다"며 "제반 사실은 우리 공화국무력으로 하여금 중장기성을 띠고 날로 무모해지고 있는 미국의 대량살상무기 사용 위협에 철저한 억제력으로 강력 대응해 나갈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9차 회의. 연합뉴스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9차 회의. 연합뉴스
    또 "역사적인 최고인민회의 14기 9차회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헌법에 국가주권과 령토완정, 인민의 권익을 옹호하며 모든 위협으로부터 사회주의 제도와 혁명의 전취물을 사수하고 조국의 평화와 번영을 강력한 군력으로 담보하는 것을 공화국무장력의 사명으로 새롭게 규제하였다"며 "우리 공화국무력은 전체 조선인민의 총의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법에 새롭게 명시된 자기의 영예로운 전투적 사명에 충실할것이며 미 제국주의 침략자들의 군사전략과 도발행위에 가장 압도적이고 지속적인 대응전략으로 대처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이 지난달 열린 최고인민회의 14기 9차 회의에서 '핵무기 발전을 고도화해 나라 생존권과 발전권을 담보하고 전쟁을 억제하며 지역과 세계 평화·안정을 수호한다'는 내용을 추가한 헌법 개정안을 채택한 것을 뜻한다.

    우리 국방부는 북한의 담화 발표 뒤 입장을 내고 "북한은 작년 9월 법제화했던 '핵무력 정책'을 이번에 그들의 헌법에 명시함으로써, 파탄난 민생에도 불구하고 핵포기 불가와 함께 핵능력을 고도화하겠다는 야욕을 더욱 노골화했다"며 "우리 군은 북한의 어떠한 공격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한미연합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으며, 만약 북한이 핵사용을 기도한다면 정권의 종말을 맞이하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