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동체 구멍' 보잉737 사고…'볼트 누락' 가능성 있다"



미국/중남미

    "'동체 구멍' 보잉737 사고…'볼트 누락' 가능성 있다"

    검사 대기 중인 보잉 737 맥스9의 도어플러그. 연합뉴스검사 대기 중인 보잉 737 맥스9의 도어플러그. 연합뉴스
    최근 있었던 미 알래스카 항공의 보잉 737 맥스9 여객기 '도어 플러그(door plug)' 이탈 사고와 관련해, 항공기 제작사 보잉의 과실이 원인일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도어 플러그'는 여격기내 실내 좌석 공간을 늘리기위해 불필요한 비상구를 외부에서 막는 패널 부품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9일(현지시간) "이번 사고의 원인은 '도어 플러그'를 동체에 결합하는 데 쓰이는 볼트가 누락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WSJ은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잉 직원들이 해당 여객기의 '도어 플러그'를 재설치할 때 볼트를 제자리에 끼어넣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동체에서 뜯겨 나간 '도어 플러그'에 볼트가 연결됐던 흔적이 없었다는 것이다. 
     
    다만 이는 미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의 공식 입장은 아니다. NTSB는 이르면 이번주 안에 최종 조사 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또다른 보잉의 과실 문제도 제기된 상태다. 
     
    문제의 '도어 플러그'는 스피릿의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제작돼 미 캔자스주 위치타에서 동체에 부착됐다. 
     
    이후 보잉이 워싱턴주 공장에서 최종 조립을 했는데, 이때 '도어 플러그'가 분리 또는 개방된 적이 있다고 미 언론들이 보도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조립 공정과 관련한 보잉의 서류 작업도 미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보다 앞서 사고 여객기와 같은 기종을 운영하는 미국 유나이티드항공과 알래스카 항공은 자제 조사를 통해 "사고 여객기와 같은 기종 중 여러 대에서 '도어 플러그'의 볼트가 헐겁게 조여진 걸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보잉의 '도어 플러그' 최종 조립 과정에서의 부실 또는 볼트 누락에 의심을 더하는 사례인 것이다. 
     
    앞서 지난 5일 177명을 태우고 미 포틀랜드를 출발한 알래스카 항공 여객기는 이륙 직후 기체 측면의 '도어 플러그'가 통째로 뽑혀나갔다. 
     
    이에 일부 승객들은 이번 사고로 "뇌진탕, 타박상, 호흡곤란, 귀 출혈 등 신체적 부상은 물론 정신적 충격을 입었다"며 보잉 본사가 있는 워싱턴주 시애틀 법원에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한편 사고를 미 연방항공청(FAA)은 지난 24일부터 철저한 검사를 거친 보잉 737 맥스9 기종의 운항 재개를 허용한 상태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