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너무 얕봤나' 두 달 만에 확 바뀐 中 이커머스 입지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생활경제

    '너무 얕봤나' 두 달 만에 확 바뀐 中 이커머스 입지

    핵심요약

    중국산 초저가 제품을 앞세운 중국 이커머스가 국내 이커머스의 시장 포지셔닝과는 다르다는 업계 인식이 두 달 만에 확 바뀌었습니다. 정부와 이커머스 업계의 두 달 전 간담회만 하더라도, 중국 이커머스의 성장세는 국내 이커머스 매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지 못했지만, 알리가 국내 주요 제조사 유치·수수료 면제 등으로 약점을 보완하며 위기의식이 커졌습니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최소한 국내 판매자들의 역차별을 해소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중국 이커머스들의 국내 시장 침투가 거세지면서 이들을 바라보는 국내 이커머스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두 달여 전만 해도 중국산 초저가 직구 상품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내세우는 업체들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제는 단순한 경쟁 상대를 넘어 국내 시장 자체를 흔들 변수로 여겨지며, 업계에서는 불공정한 상황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 커지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4일 국내 온라인 유통산업을 점검하기 위한 산업통상자원부와 국내 이커머스 업계의 간담회에서는 두 달 전 간담회와 전혀 다른 목소리가 분출됐다고 한다.

    두 달 전에도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발 이커머스의 이용자 수 급증처럼 이들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포착됐지만, 국내 이커머스 업계 매출에 직접적 타격은 없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일반적인 인식이었다.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등장으로 초저가 중국산 제품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창구가 하나 더 생겼을 뿐, 이러한 상품들이 국내 이커머스의 주력인 주요 제조사 공산품 등과 직접적인 경쟁 상대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특히, 생활필수품·식료품 등 인체에 직접 바르고, 붙이고, 먹는 영역은 중국산 제품들에게는 약점으로 여겨지고, 기본적으로 신뢰도가 중요해 중국 플랫폼들이 다가가기 힘든 부분으로 꼽혀왔다.

    하지만 중국 이커머스가 이러한 약점으로 꼽히는 부분을 막대한 자본력에 근거해 하나씩 제거해나가며 인식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알리익스프레스가 국내 브랜드 전문관인 'K-베뉴'를 통해 LG생활건강, 애경산업, 한국P&G 등 국내 제조사 브랜드를 유치하고, 국내 판매자들 유치를 위해 '수수료 면제'를 내걸고, 최근에는 신선식품 상품 기획자 채용에 나선 것이 대표적이다.

    지난주 간담회에 참석했던 한 인사는 "알리가 국내 제조사들과 협력을 강화하는 등 자신들의 약점을 보강하는 행보에 눈에 띄게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 이커머스에 전방위로 침투할 태세이기에 직접적인 경쟁 상대가 아니라는 인식은 틀렸던 것"이라고 말했다.

    알리가 국내 주요 제조사의 공산품과 식료품 영역까지 전선을 넓히고, 이를 통해 모은 고객들에게 중국산 초저가 제품까지 자연스럽게 판매하는 구조가 갖춰진다면, 국내 이커머스 생태계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알리와 테무의 지난달 월간활성사용자수(MAU)는 각각 560만 명, 460만 명으로 이용자를 합치면 1천만 명이 넘는다.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위기의식에 휩싸인 국내 이커머스 업계는 최소한 국내 판매자들이 받고 있는 역차별을 해소하는 등 공정한 경쟁이 가능해져야 한다며 정부의 관심을 요구하고 있다.

    국내 판매자들은 해외에서 대량으로 상품을 떼올 때 붙는 관세, 부가세, KC 인증 비용 등을 내야 하고, 이를 소비자 가격에 반영하게 된다. 하지만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은 이 같은 규제에서 자유롭다. 국내 이용자가 중국 플랫폼을 통해 150달러 미만으로 '직구'를 한다면, 관세가 부가되지 않아 중국 플랫폼이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각종 절차에 적지 않은 비용은 물론 시간까지 들기 때문에 국내 판매자들의 제품 가격이 올라가고, 새로운 제품을 빠르게 선보이는 데에도 불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다면, 오히려 중국 플랫폼들을 도와주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주무부처인 산업부 입장에서는 관세청 등 다른 부처와의 조율도 필요하고, 중국 플랫폼에 가해지는 규제가 외교 문제로 비화될 수도 있는 상황이기에 신중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대신 주기적으로 이커머스 업계를 만나며 규제 완화, 지원 정책 등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근본적으로 중국산 초저가 제품들의 침투를 막을 수 없기에 국내 중소 제조업체들이 차별화된 역량을 갖출 시간을 벌어주기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단국대 경영학부 정연승 교수(한국유통학회장)는 "중국산 저가 제품과 완전 경쟁을 하기 위해서는 제품 차별화와 혁신 등이 필수적"이라며 "단기간에 중국 제품들이 침투한다면 국내 기업들이 대응할 준비가 돼 있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단기적으로 지원책을 제시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