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1월 경상수지 30억 달러 흑자…'수출 회복' 9개월 연속 흑자(종합)



경제 일반

    1월 경상수지 30억 달러 흑자…'수출 회복' 9개월 연속 흑자(종합)

    반도체 수출 52.8% 증가…수출 15% 늘어 상품수지 42억 달러 흑자
    서비스수지 26.6억 달러 적자…여행수지 14.7억 달러 적자 "출국자 증가"
    한은 "상반기 경상수지 흑자 흐름 지속..하반기 흑자 폭 확대 뚜렷해질 것"

    연합뉴스연합뉴스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경상수지가 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4년 1월 국제수지(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경상수지는 30억5천만달러(4조519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지난해 5월 이후 9개월 연속 흑자지만, 흑자 규모는 지난해 12월(74억1천만달러)보다 줄었다.
     
    송재창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부장은 "연말 연초 계절적 요인으로 1월 경상수지 흑자 폭이 전월보다 축소됐으나, 추세적으로 보면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수출 개선 흐름에 힘입어 양호한 흑자 흐름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1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42억4천만달러)가 10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552억2천만달러)은 지난해 1월보다 14.7% 증가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이후 넉 달째 증가세를 이어갔다.품목을 보면 반도체(+52.8%), 승용차(+24.8%)·기계류·정밀기기(+16.9%), 석유제품(+12.0%) 등의 수출이 크게 늘었다. 지역별로는 미국(+27.1%), 동남아(+24.4%), 중국(+16.0%) 등으로의 수출이 회복세가 뚜렸했다.
     
    송 부장은 "반도체의 경우 서버용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메모리 반도체 수요 회복세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했다"며 "국가별로 보면 중국에서의 수요가 좀 늘고 있고, 반도체 가격도 상승세를 지속해 반도체 경기 회복세는 뚜렷해졌다"고 말했다.
     
    반면 수입(509억8천만달러)은 8.1% 감소했다. 원자재 수입이 에너지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3% 줄었다.원자재 가운데 가스, 화학공업제품, 석탄의 감소율이 각각 42.3%, 16.3%, 8.2%로 집계됐다.내수 부진의 영향으로 정보통신기기(-16.1%)를 중심으로 자본재 수입이 3.8% 줄었고, 승용차(-44.6%)·곡물(-6.5%) 등 소비재 수입도 4.2% 감소했다.
     
    서비스수지는 26억6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25억4천만달러)보다 적자 폭도 커졌다.출국자 증가로 여행수지 적자(-14억7천만달러)가 이어졌고, 지적재산권수지(-5억2천만달러)도 적자였다.
     
    송 부장은 "1월은 통상적으로 겨울방학철 해외여행이 늘어나는 시기이고, 연휴일 수 등의 측면에서 입국자 수는 다소 줄었다"며 "2월에는 중국 춘절연휴 등 영향으로 입국자 수가 늘어 여행수지가 좀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본원소득수지는 16억2천만달러 흑자였고,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1월 중 28억1천만달러 증가했다.
     
    금융계정 순자산은 1월 중 28억1천만 달러 늘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21억6천만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도 2억2천만달러 늘었다.증권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65억1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채권을 중심으로 65억2천만달러 각각 증가했다.
     
    송재창 금융통계부장은 "2월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2월 경상수지 흑자 폭은 좀 늘어날 것"이라며 "상반기에는 상품수지를 중심으로 흑자 흐름을 지속하고, 하반기에는 흑자 폭이 확대되는 흐름이 더 뚜렷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