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日 17년 만에 '마이너스 금리' 끝내나…국제 금융시장 주목



국제일반

    日 17년 만에 '마이너스 금리' 끝내나…국제 금융시장 주목

    일본은행, 18~19일 금융정책결정회의
    금융시장은 '마이너스 금리 해제' 관측

    연합뉴스연합뉴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17년 만에 금리 인상에 나설지 주목된다.

    일본은행은 오는 18~19일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연다. 금융시장에서는 일본은행이 2016년 2월부터 이어온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마이너스 금리 해제를 전망하는 배경에는 기업들의 임금 인상이 깔려있다. 일본 최대 노동조합 조직인 '렌고'(連合·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는 지난 15일 중간 집계에서 평균 임금 인상률이 지난해 동기보다 1.48%포인트 높은 5.28%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일본은행은 그동안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변경하려면 '물가 상승과 임금 상승의 선순환'이 확인돼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물가는 이미 일본은행의 물가 목표를 넘어선 상황으로, 지난해 일본 소비자물가지수(신선식품 제외)는 1982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일본은행은 2016년 2월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도입했다. 은행이 중앙은행에 돈을 맡기면 -0.1%의 단기 정책금리(당좌예금 정책잔고 금리)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이번에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 해제되면 2007년 2월 이후 17년 만에 금리 인상이 이뤄진다.

    일본은행은 거품 경제가 무너지면서 자국 경제가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에 빠지자 경기를 부양하려는 목적에서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오랫동안 이어왔다.

    중앙은행이 국채를 무제한 매입하면서 국채 시장 금리를 직접 통제하는 수익률곡선 제어(YCC), 사실상 중앙은행이 자국 기업 주식을 사들여 증시를 떠받치는 상장지수펀드(ETF) 매입 등이 대표적이다.

    금융시장과 언론은 마이너스 금리 해제와 함께 ETF 매입 중단, YCC 폐지 등을 예상하고 있다. 실제 우치다 신이치 일본은행 부총재도 최근 "대규모 금융완화 수정 때에는 ETF의 매입도 중단하는 게 자연스럽다"고 말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물가와 임금 여건이 모두 충족됨에 따라 일본은행은 이번 금융정책결정회의를 통화정책 정상화의 기회로 보고 있다.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마이너스 금리 해제는 일본의 기업과 가계뿐 아니라 글로벌 자금 흐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