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삼성전자, 파운드리 전략 공개…'1나노 공정 로드맵' 베일 벗나



기업/산업

    삼성전자, 파운드리 전략 공개…'1나노 공정 로드맵' 베일 벗나

    미국서 연례 '파운드리 포럼' 열려…반도체 경영진 총출동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장 사장. 연합뉴스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장 사장.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연례행사인 '파운드리 포럼'을 열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전략을 공개한다.

    경쟁사인 TSMC는 최근 1.6나노 로드맵을 발표하며 1나노 양산 일정을 앞당기겠다고 밝혔는데 삼성전자가 1나노 로드맵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는 12~13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 삼성 반도체 캠퍼스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SAFE 포럼 2024'를 연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기술 로드맵과 AI(인공지능) 반도체 생태계 강화 전략 등을 발표하고, 이를 파트너사 및 고객과 공유할 계획이다.

    이번 포럼에는 최근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이 된 전영현 부회장과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사장),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사장) 등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 임원들이 참석한다. 

    최 사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AI 시대에 대응할 삼성전자의 최첨단 파운드리 공정 로드맵을 발표한다. 

    앞서 삼성전자는 2022년 파운드리 포럼에서 2025년에 2나노(㎚·10억분의 1m), 2027년에 1.4나노 공정을 적용한 반도체를 양산하겠다고 선언했다.

    지난해 행사에서는 글로벌 파운드리 1위 대만 TSMC보다 먼저 업계 최초로 구체적인 2나노 공정 로드맵을 제시했다.

    나노란 반도체 회로 선폭이다. 선폭이 좁을수록 소비전력이 줄고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현재 가장 앞선 기술은 TSMC와 삼성전자만 양산하는 3나노다.

    그동안 파운드리 포럼에서 발표됐던 내용들을 감안하면 삼성전자가 이번에도 1.4나노 양산 시점을 앞당기는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TSMC가 1나노대 양산 일정을 앞당긴 만큼 삼성전자가 이번에 이에 대응한 1나노대 공정 로드맵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앞서 TSMC는 지난 4월 오는 2026년부터 1.6나노 공정을 통한 반도체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발표하면서 공정 로드맵을 공개한 바 있다.

    2025년과 2027년부터 각각 양산할 2나노와 1.4나노의 중간에 1.6나노를 추가해 1나노대 진입 시기를 1년 앞당길 예정이다. 

    한편 이번 삼성전자 파운드리 포럼에는 르네 하스 Arm(암) 최고경영자(CEO), 빌 은 AMD 기업담당 부사장 등 삼성전자와 오랫동안 협력해온 고객사 경영진이 연사로 나서며 지원 사격에 나선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