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이창용 "높은 생활비 탓, 인플레 체감 안돼…구조개선 고민할 때"



금융/증시

    이창용 "높은 생활비 탓, 인플레 체감 안돼…구조개선 고민할 때"

    "높은 생활비,통화정책만으론 해결 어려워"…필수소비제 가격 안정 등 제안
    "물가상승률, 하반기에도 완만한 둔화 추세 전망…불확실성 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공동취재단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우리나라의 생활비 수준이 주요국보다 높아 국민들이 물가상승률 둔화를 체감하기 어렵다며 생활비 수준을 낮추기 위한 구조개선을 고민할때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18일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 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나라의 식료품, 의류 등 필수소비재 가격은 주요국에 비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어 생활비 부담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인플레이션은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주요국 대비 높은 생활비 수준은 통화정책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며 "우리 인플레이션이 지난해 초 5.0%에서 올해 5월 2.7%로 내렸지만 국민들이 피부로 잘 느끼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생활비 수준을 낮추기 위해 어떤 구조개선이 필요한지 고민해볼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한은 물가동향팀은 이날 발표한 '우리나라 물가수준의 특징 및 시사점:주요국 비교를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과도하게 높은 필수소비재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공급채널 다양화, 유통구조 개선, 공공서비스 공급 지속가능성 확보 등을 제안했다.
     
    이 총재는 하반기에도 물가 상승률이 완만한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지정학적 리스크나 기상 여건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추세적으로 완만한 둔화 흐름을 이어가다가, 하반기 중에 2.5%를 밑도는 수준까지 둔화할 것으로 한은은 전망했다.
     
    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이 둔화하고 있고, 내수 측면에서 물가 압력도 제한적이겠지만 전기·도시가스 요금 인상, 유류세 인하 조치 환원 가능성은 물가 상승률 둔화 흐름을 일부 제약할 수 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