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국내 3대 명루 '영남루' 국보 승격 추진



경남

    국내 3대 명루 '영남루' 국보 승격 추진

    조선후기 누각 건축의 정수…"다시 국보로 지정돼야"

     

    경남 밀양시가 현재 보물로 지정돼 있는 영남루(嶺南樓)의 국보 승격을 추진하고 있다.

    밀양시는 최근 영남루의 국보 환원을 위한 학술조사와 용역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시는 오는 2014년 2월 용역이 완료되면 문화재청에 국보 승격을 신청할 계획이다.

    시는 영남루가 이미 14년간 국보의 지위를 유지했고, '영남제일루'로 명성을 떨쳤던 영남루에 대한 국보 복원의 당위성은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밀양 영남루는 1300여 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누각으로, 진주 촉석루, 평양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 3대 명루(名樓)로 일컬어왔다.

    영남루는 신라 경덕왕(742~765) 때 신라시대의 이름난 사찰 중의 하나였던 영남사(嶺南寺)의 부속 누각으로 창건되었으며, 진주 촉석루(고려 고종 28년, 1241)와 숭례문(태조 7년, 1398)보다 훨씬 앞서 지은 전통 누각으로 그 역사성과 수려한 경관은 일품으로 꼽힌다.

    영남루는 서울의 숭례문과 함께 지난 1933년 보물, 1948년 국보로 지정됐지만, 1962년 현행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보물 제147호로 지정됐다.

    영남루의 본루는 정면 5칸, 측면 4칸의 큰 규모로, 넓고 높은 기둥을 사용한 누각으로 높고 큰 웅장한 기품이 특징이다. 가운데 있는 본루를 기점으로 좌측에 능파각, 우측에 여수각과 침류각을 배치한 형태로, 이같이 본루를 가운데 두고 좌우에 익랑을 거느린 누각은 영남루가 유일하다.

     

    이같은 독특한 형태는 다른 누각에서 찾아볼 수 없으며, 건물 배치와 형태에 보이는 창의적이고 독특한 특징으로 인해 영남루는 조선후기 누각 건축의 정수로 평가받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