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업무용·개인용 번호 나눠볼까…'1폰 2번호' e심 오늘부터 개통



IT/과학

    업무용·개인용 번호 나눠볼까…'1폰 2번호' e심 오늘부터 개통

    안드로이드만 가능했던 '투넘버'와 차이
    아이폰XS, 갤럭시Z폴드4·플립4부터 가능

     연합뉴스 연합뉴스
    스마트폰에 손톱만 한 유심칩을 직접 꽂지 않고, 인터넷으로 내려받아 이용할 수 있는 e심(eSIM·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 서비스가 오늘(1일)부터 시행된다.
       
    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이날부터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와 알뜰폰 업체를 통해 e심으로 스마트폰을 개통할 수 있다. e심 발급 비용은 2750원으로 기존 유심 구매 비용(7700원)보다 싸고, 온라인으로 개통할 경우 심 배송 과정이 생략돼 더 빠른 가입이 가능하다.
       
    소비자는 e심과 유심 중 원하는 방식으로 휴대전화를 개통할 수 있다. e심과 유심을 동시에 이용하면 하나의 스마트폰에서 두 개의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단, '대포폰' 등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1개의 단말에선 한 사람의 명의로만 이용이 가능하다.
       
    e심과 유심은 각각 다른 통신사로 가입할 수 있다. 선택약정(25% 요금할인)도 각 번호마다 가입할 수 있지만 공시지원금의 경우 단말을 구입할 때 개통하는 번호 하나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기존에도 한 단말기에서 2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투넘버' 서비스가 있었다. 월 3500원 안팎의 부가서비스에 가입하면 이통사가 번호 하나를 더 부여하는 구조였는데, 임의 제공되는 가상번호여서 별도의 본인인증 서비스는 불가능하다는 제약이 있었다. 안드로이드 폰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번호별 요금제나 통신사를 달리 할 수 없는 등 다른 한계도 많았다.
       
    e심을 이용하면 업무용 회선은 통화 위주의 요금제를 쓰고, 개인용 회선으로는 데이터 위주 알뜰폰 요금제를 택하는 등의 구성이 가능해진다.
       
    지난 달 28일 KT가 가장 먼저 월 8800원에 보조 회선(두 번째 번호)용 데이터 1GB를 제공하는 '5G·LTE 듀얼번호' 요금제를 내놨다. LG유플러스도 이날부터 월 8800원에 두 번째 번호용 데이터 250MB를 추가로 제공하는 '듀얼넘버 플러스' 요금제를 출시했다.

    SKT도 같은 가격대의 듀얼심 요금제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신고한 상태다. 이통3사는 오는 12월까지 e심 첫 이용자들에게 무료 발급 행사를 벌일 계획이다.
     
    다만 e심을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종은 아직 많지 않다. 삼성전자 제품은 이달 출시한 갤럭시Z폴드4·플립4부터 e심 개통이 가능하고 애플의 경우 2018년 이후 출시된 아이폰XS 시리즈부터 가능하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