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첫눈 온다는 '소설'인데 포근한 이유…'북극에 찬공기가 갇혔다'



사회 일반

    첫눈 온다는 '소설'인데 포근한 이유…'북극에 찬공기가 갇혔다'

    • 2022-11-22 08:47

    동서로 빠른 제트기류가 '한기' 남하 막는 장벽 역할
    따뜻한 중국 내륙서 부는 서풍도 원인…이달 말까지 계속

    지난달 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네거리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류영주 기자지난달 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네거리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류영주 기자
    본격적인 겨울 추위가 나타나기 시작해야 하는 11월 하순에 완연한 늦가을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절기상 소설(小雪)인 22일 기상청에 따르면 전날인 21일 전국 아침 최저기온은 영상 1.5~11.3도로 평년기온(영하 3.4도에서 영상 6.4도)을 5도 안팎 상회했다.

    21일 낮 최고기온은 12.9~20.9도로 역시 평년기온(8.2~15.0도)보다 꽤 높았다.

    서울은 최고기온이 평년기온보다 6.4도나 높은 16.2도까지 올랐다.

    제주 제주시는 최고기온이 20도까지 상승하면서 평년기온을 14.9도나 웃돌았다.

    이달 중순에 들어서 평년보다 포근한 날이 이어져 왔다. 이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입동'(7일)도 지났는데 개나리 등 봄꽃까지 피었다는 소식마저 전해졌다.

    따뜻한 날이 이어지는 까닭으로 북극 주변 소용돌이가 강한 상태(양의 북극진동)로 이어지면서 찬 공기가 북극에 갇혀 남하하지 못하는 점이 꼽힌다.

    북극 주변 소용돌이는 수십 일 또는 수십 년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하는데 이를 지수화한 것이 북극진동 지수다.

    양의 북극진동 상태면 차가운 제트기류가 보다 북쪽에서 동쪽에서 서쪽으로 빠르게 직진하면서 북극의 한기를 가두는 장벽 역할을 한다. 반면 음의 북극진동 상태일 땐 제트기류가 뱀이 구불거리면서 이동하듯 사행(蛇行)하면서 북극의 한기가 우리나라가 속한 중위도까지 남하할 가능성이 생긴다.

    대기 상층으로 찬 공기가 내려오지 않으면서 지상에서 대륙고기압(시베리아고기압)도 세력을 확장하지 못하고 있다. 대륙고기압은 지상에 냉기가 쌓이면 형성되는데 세력을 키우려면 대기 상층에서 찬 공기가 가라앉으며 지원해야 한다.

    허드슨베이에서 물 위로 고개를 내민 북극곰. 연합뉴스허드슨베이에서 물 위로 고개를 내민 북극곰. 연합뉴스
    우리나라 남쪽으로 고기압이 자주 통과한 것도 기온을 올린 요인이다.

    북반구에서는 고기압 가장자리에서 시계방향으로 바람이 분다.

    우리나라 남쪽에 고기압이 통과하면 서쪽에서 동쪽으로 대기의 흐름이 원활해지는데 서풍의 출발지인 중국 내륙지역 기온이 평년보다 높다.

    예년 이맘때에 견줘 춥지 않은 날씨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우진규 기상청 통보관은 "현재 기압계가 바뀌기까지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라면서 "현 추세가 이달 말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