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韓 해수면 1년에 1cm씩 상승?…"2100년 82㎝ 상승 전망"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경제정책

    韓 해수면 1년에 1cm씩 상승?…"2100년 82㎝ 상승 전망"

    핵심요약

    국립해양조사원,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 상승 전망 발표
    고탄소 시나리오 적용시 2050년 25cm, 2100년 82cm 상승
    온실가스 저감 노력 필요 강조
    해안침수 대책 위한 기초자료 의미

    시나리오별 우리 주변 해역 평균 해수면 전망치. 국립해양조사원 제공시나리오별 우리 주변 해역 평균 해수면 전망치. 국립해양조사원 제공
    해수면 상승으로 남태평양 연안 섬나라들이 침수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이는 남의 나라 얘기만은 아니라는 경고가 나왔다.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으면 2100년 우리나라 해수면이 최대 82㎝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것이다. 산술적으로 1년에 1㎝씩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국립해양조사원은 9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보고서의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SSP)를 적용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 상승 전망'에서 이 같이 밝혔다.
     
    IPCC는 기후변화 관련 전 지구적 위험 평가 및 국제적 대책 마련을 위한 유엔 산하 국제 협의체이며 SSP는 기존 온실가스 농도와 함께 미래 사회경제(인구, 경제발달 등) 변화를 적용한 새로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말한다.
     
    해양조사원은 서울대 조양기 교수팀과 공동으로 우리나라 주변 수평 약 6km인 고해상도 해양기후 수치예측 모델에 SSP 시나리오를 적용해 평균 해수면 상승 폭을 분석했다.
     
    그 결과 온실가스 저감 없이 배출되는 고탄소 시나리오(SSP 5-8.5)에서의 해수면 높이는 2050년 25㎝까지, 2100년 82㎝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온실가스 저감이 잘 실현되는 저탄소 시나리오(SSP 1-2.6)를 적용하면 해수면 높이는 2050년까지 20㎝, 2100년에는 47㎝까지 올라가 상승폭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SSP 5-8.5는 산업기술의 빠른 발전에 중심을 둬 화석연료 사용이 높고 도시 위주의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될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며, SSP 1-2.6은 재생에너지 기술 발달로 화석연료 사용이 최소화되고 친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룰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다.
     
    고탄소 시나리오 적용시 해수면 상승 전망. 국립해양조사원 제공고탄소 시나리오 적용시 해수면 상승 전망. 국립해양조사원 제공
    우리나라 해역별 해수면 상승폭과 상승률은 모든 시나리오에서 서해에 비해 동해가 다소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상승폭은 고탄소 시나리오의 경우 서해 80.8㎝, 동해 82.2㎝, 대한해협 82.3㎝로 각각 전망됐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속도는 앞으로 더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
     
    해양조사원이 2021년 제5차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8.5)를 적용해 분석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 상승 폭은 2100년까지 최대 73㎝였다. 2년 만에 9㎝ 정도가 추가 상승한 것이다.
     
    다만 해양조사원은 해수면 상승이 곧바로 우려할 만한 해안 침수를 말하는 것은 아니라고 경계했다.
     
    해양조사원 오현주 연구실장은 "이번 연구결과는 IPCC의 분석 시나리오가 바뀌면서 그 기준에 따라 우리나라 해역을 분석한 기초자료로, 온실가스 저감의 필요성을 역설한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해안 침수는 태풍이나 강우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번 결과를 곧 연안 침수로 바라보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앞으로 자료를 분석해서 연안의 취약성 예방 등 관련 분야에 대한 정책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양조사원의 IPCC 제6차 보고서 관련 해수면 상승 전망 정보는 이날부터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바다누리 해양정보 서비스'를 통해 국내 최초로 제공됐다.
     
    해양조사원은 현재 분석 중인 SSP 중간 시나리오(2종, 2-4.5 / 3-7.0)에 따른 고해상도 미래 해수면 상승 전망 결과도 생산되는 대로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이철조 국립해양조사원장은 "기후변화에 따라 항만과 연안에서 침수, 침식 등 재해가 증대되는 상황에서 이번 전망치 발표와 연계해 전국 항만과 연안지역의 연안재해취약성 평가와 침수예상도 작성 등을 전면적으로 개선해 적응대책을 잘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