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선제행동 부담, 환자에 죄송" 서울의대 교수들, '휴진은 강행'



사건/사고

    "선제행동 부담, 환자에 죄송" 서울의대 교수들, '휴진은 강행'

    "중증·희귀질환 환자분들께 정말 죄송하다"
    "'연쇄 휴진' 첫 번째 순서, 부담스러워"

    서울대병원에서 이동하는 의료진의 모습. 황진환 기자서울대병원에서 이동하는 의료진의 모습. 황진환 기자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전면 휴진 방침을 밝힌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교수 비대위)가 환자들에게 사과하면서도 휴진 계획을 철회하진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서울의대 교수 비대위는 14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의대 융합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이번 전체 휴진을 시작으로 서울대병원은 중증·희귀질환 환자 진료에 집중하는 진정한 최상급종합병원의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대위는 "먼저 중증·희귀질환 환자 분들께 정말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정부를 향한 이런 부르짖음이 서울대병원만을 믿어오신 중증‧희귀질환 환자분들께 절망의 소리가 될 것이라는 것을 저희가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체 휴진이란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들의 외래 진료와 수술 중단을 뜻한다"며 "진료가 지금 반드시 필요한 중증·희귀질환 환자들께는 휴진 기간에도 차질 없이 진료가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의대 교수들의 전면 휴진 방침 공표 이후 연세세브란스 등 '교수 휴진 투쟁' 기류가 번진 데 대해 서울의대 비대위 강희경 위원장은 "'연쇄 휴진'의 첫 번째 순서가 된 것에 대해서는 부담스럽다"며 "이런 것을 기대한 것은 전혀 아니었고 저희와 같은 시기에 휴진하는 다른 기관이 없길 바란다"고 부담감을 드러냈다.

    강 위원장은 "국민들께서 하는 기대를 저버리고 휴진하는 것은 정말 죄송하다"면서도 "불의를 보고 가만히 있는 것만이 지식인의 태도는 아니지 않느냐"고 했다.

    강 위원장은 집단 휴진에 참여하는 교수들의 구체적인 수치를 묻자 "저희가 파악한 바로는 약 200명 정도의 교수들이 진료 변경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강 위원장은 "정부가 많이 양보해줬음에도 전공의가 향후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다"며 "(전공의가 떠난) 근본적인 이유는 사직할 자유가 없었기 때문이고, 결국은 존중 받지 못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