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빚 내 투자한 개미들 '깡통계좌' 속출하나



금융/증시

    빚 내 투자한 개미들 '깡통계좌' 속출하나

    증권사 반대매매 11년 만에 최대
    미수금 규모도 8년 7개월 만에 최대

    13일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외환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국내 증시의 주가가 폭락하면서 코스닥시장에 이어 유가증권시장에서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국내 주식의 주가 폭락으로 주식 반대매매 규모가 약 11년 만에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매매는 투자자가 외상으로 산 주식(미수거래)에 대해 결제 대금을 납입하지 못하면, 증권사가 주식을 강제로 팔아 채권을 회수하는 방식을 말한다.

    1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들어 12일까지 주식 반대매매 규모가 하루 평균 137억원으로 2009년 5월 143억원 이후 10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하루 평균 반대매매 규모는 지난해 12월 94억원에서 올해 1월 107억원, 2월 117억원 등으로 증가세다

    코로나19 사태로 주가가 연이어 폭락하자 주식 미수금이 더 쌓이고 증권사가 강제 처분에 나선 부실 주식이 늘어난 것이다. 미수금은 개인 투자자가 증권사에 돈을 빌려 주식을 사고 사흘 후 대금을 갚는 초단기 외상을 말한다.

    지난 13일 코스피는 1771.44로 올해 들어 19.4% 내렸고, 코스닥지수는 524.00으로 21.8% 떨어졌다. 코스닥 시장을 중심으로 52주 신저가 종목이 속출하고 있어 반대매매 규모가 계속 커진 것이다.

    주식 시장에선 반대매매가 늘어나면, 투자자 손실을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증권사는 미수거래 투자자들이 3거래일 후 돈을 갚지 못하면 4일째 되는 날 남은 주식을 강제로 팔 수 있다.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 일반 거래보다 미수 거래 투자자들의 손실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외상으로 주식을 더 많이 샀기 때문에 주가 하락 시 그만큼 더 손실이 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자칫 주식을 다 팔아도 빌린 돈을 다 갚지 못하는 '깡통 계좌'가 생길 수도 있다.

    미수금도 이달 들어 12일까지 하루평균 2천246억원으로 증가한 상태다. 하루 평균 미수금 규모는 월간 기준으로 2011년 8월(2천644억원) 이후 8년 7개월 만의 최대다.

    하루평균 미수금은 지난해 12월 1천769억원에서 올해 1월 1천958억원, 2월 2천116억원 등으로 역시 증가세다. 미수금이 증가한 건 미수 거래를 했던 개인 투자자들이 4일째 외상거래로 샀던 주식을 팔거나 보유한 현금으로 빚을 갚아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서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3일 이런 점을 고려해 오는 16일부터 6개월 동안 공매도 금지 조치와 함께 증권사의 신용융자담보비율 유지의무를 면제하기로 했다. 이는 증권사의 신용융자 담보주식에 대한 과도한 반대매매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지난 13일 시장안정 대책 발표 당시 "증권사들은 우리 자본시장 생태계의 구성원인 만큼 투자자 이익 보호와 시장 안정을 위해 담보 비율 하락에 따른 기계적인 반대매매를 자제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