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美언론 "한국, 우크라에 포탄 대량 공급….유럽보다 많은 양"



국제일반

    美언론 "한국, 우크라에 포탄 대량 공급….유럽보다 많은 양"

    핵심요약

    4일 워싱턴포스트 우크라전쟁 특집기사 보도
    "한국, 우크라이나에 155mm 포탄 우회 지원"
    "한국 정부, 간접 지원일 경우 수용 가능하다는 입장"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의 셀리도베에서 구조대원들이 러시아군의 미사일 공격으로 무너진 아파트 잔해의 철근을 절단하고 있다. 연합뉴스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의 셀리도베에서 구조대원들이 러시아군의 미사일 공격으로 무너진 아파트 잔해의 철근을 절단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줄곧 전쟁 중인 국가에는 살상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고수해왔다. 하지만 이런 우리 정부의 입장과 달리 막대한 양의 포탄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했다고 미국의 유력 일간지의 보도가 나왔다.

    워싱턴포스트는 4일(현지시각) 미국의 설득 하에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155mm 포탄을 '간접적으로' 지원했고, 그 양이 유럽 전 국가를 합친 것보다 많다고 보도했다.  

    155mm 포탄은 우크라이나 측에서만 전쟁 1년 동안 백만 발 가량이 소모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재고가 크게 부족해졌다. 워싱턴포스트는 "올해 초 바이든 행정부의 가장 큰 숙제가 우크라이나에 155mm 포탄을 공급하는 일이었다"고 설명했다.

    전장에서 우크라이나가 원하는 군사적 목적을 달성하려면 한 달에 9만 발 이상의 포탄이 필요했지만 미국의 포탄 생산량으로는 필요량의 10분의 1밖에 충당할 수 없었다.

    이에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탄약을 대량으로 보유한 한국에게 눈을 돌려 교섭을 시작했다고 한다. 남북이 대치 중인 우리나라는 K-9을 비롯해 155mm 포 운용 비중이 높고, 생산능력과 품질이 꾸준히 관리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은 한국이라면 41일 안에 공중과 해상으로 33만 발을 실어 나를 수 있다고 계산하고 군수품 제공을 설득했다. 문제는 우리 법은 전쟁 지역에 무기를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는 것.

    워싱턴포스트는 미 국방부 당국자들이 한국 정부에 군수품 제공을 설득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고 썼다. 논의 끝에 한국은 직접 포탄을 공급하지 않는 '우회적 방식'으로 미국의 제안을 수용했다.

    결국 한국은 모든 유럽 국가를 합친 것보다 많은 포탄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했고, 최대 탄약 공급국이 된 것이다.

    다만 워싱턴포스트는 한국이 보낸 포탄이 우크라이나에 직접 제공됐는지, 미국을 거쳐 갔는지, 포탄의 정확한 양은 얼마인지 등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