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지난해 9월 기준 금융권 해외부동산 투자 부실 우려 2.46조원



금융/증시

    지난해 9월 기준 금융권 해외부동산 투자 부실 우려 2.46조원

    3개월 사이에 1조원 이상 급증
    금융당국 "금융 시스템 감내 가능한 수준"이라지만
    올해 만기 도래만 12.7조원
    금감원 "상업용 부동산 추가 하락 가능성, 손실 더 발생"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해외 부동산 업황 부진으로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중 2조 5천억 원 규모의 부실이 우려된다.

    금융 당국은 우리 금융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올해도 상업용 부동산 추가 하락이 불가피해 부실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작년 9월 말 기준 56조 4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금융권 총자산(6800조 9천억 원)의 0.8% 수준이다.

    금융권별로 살펴보면 보험이 31조9000억원으로 전체 투자 잔액의 56.6%를 차지했다. 이어 은행 10조 1천억 원(17.9%), 증권 8조 4천억 원(14.9%), 상호금융 3조 7천억 원(6.6%), 여전사 2조 2천억 원(0.5%), 저축은행 1천억 원(0.2%) 순이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4조 5천억 원(61.1%)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 10조 8천억 원(19.2%), 아시아 4조4천억 원(7.9%), 기타 6조 6천억 원(11.8%)이었다.

    올해 중 만기가 도래하는 규모는 12조 7천억 원(22.5%)에 달한다. 오는 2030년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규모는 43조 7천억 원(77.5%)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작년 9월 말 기준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5조 8천억 원 중 2조 3100억 원(6.46%)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기한이익상실은 선순위 채권자에 대한 이자·원금 미지급, 자산가치 하락에 따른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조건 미달 등의 사유로 인해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금감원이 작년 6월 말 기준으로 공개했던 자료에서는 EOD 사유가 발생한 규모가 1조 3300억 원(전체 사업장의 3.7%)이었다. 3개월만에 1조원 가량이 급증한 셈이다.
     
    자산 유형별 기한이익상실 발생 규모는 오피스가 930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호텔 1100억 원, 상가 1200억 원 등이었다.

    금감원은 작년 9월 이후 3건의 EOD가 추가로 확인해 이달 현재 기준 EOD 사유가 발생한 규모는 2조 4600억 원(사업장 총 28곳)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해외 부동산 시장 침체가 지속되면 국내 금융권 해외 부동산 신규 투자는 정체됐다"며 "그러나 선진국의 재택근무 정착 및 고금리 지속 등에 따라 전분기 대비 EOD 발생 자산이 증가하는 등 투자자산 부실화 가능성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단일 사업장 투자 이외에 복수 자산(복수의 부동산 자산에 투자하는 블라인드 펀드 등) 투자액 20조 5천억 원까지 포함한 원금 대비 손실률을 5.9%로 집계했다.
     
    문제는 올해도 일부 추가 손실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김병칠 금감원 전략감독 담당 부원장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상업용 부동산이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많아 앞으로 손실이 조금 더 발생할 수는 있다"며 "9월 말 이후 최근까지 상업용 부동산 가격은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4~6% 추가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향후 부동산시장 악화 가능성에 대비해 적정 손실 인식 및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사업장·투자건별 데이터베이스(DB) 및 금융회사의 손실반영·충당금 적립 등 리스크 관리 실태를 점검하겠다"며 "손실 및 부실 자산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강화를 위해 금융회사 및 금감원 해외사무소 등과 연계해 신속보고 체계를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또 "만기 임박 자산 등에 대해 금융회사의 대응 계획을 선제적으로 파악·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가 해외 부동산에 투자한 규모는 총자산 대비 1% 미만으로 금융회사의 양호한 자본비율 등 손실흡수 능력을 감안할 때 투자 손실이 우리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김병칠 부원장보는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규모는 국내 프로젝트펀드(PF) 대출에 비해 절반 이하"라며 "국내 금융사 자본력을 감안할 때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한다고 해도 우리 금융 시스템이 감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EOD가 발생했다고 해서 전액 손실이 발생한다고 볼 수는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투자 순위(트렌치)에 따라 전액 또는 일부 회수할 수 있어 최종적인 회수가능금액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