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대전협 비대위원장 "의협과 합동회견 합의한 적 없다"



보건/의료

    대전협 비대위원장 "의협과 합동회견 합의한 적 없다"

    박단, 尹 독대 나흘 만에 SNS 글 올려 언론 보도 반박
    "내일 대통령 안 만난다"…추가 회동설 등 소문도 부인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의대정원 증원 저지를 위한 비대위 제7차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회의장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의대정원 증원 저지를 위한 비대위 제7차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회의장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달 4일 윤석열 대통령과 독대했던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이 총선 직후 예정된 것으로 언론에 보도된 대한의사협회(의협)와의 합동 기자회견에 "합의한 적 없다"고 부인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8일 오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의협 비대위원장 김택우 선생님, 전국 의과대학 교수협의회(전의교협) 회장 김창수 선생님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면서도 합동 브리핑을 진행하기로 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의협은 전날 비대위 회의 후 총선이 끝나면 의료계 단체들의 목소리를 모아 정부와의 협의를 위한 창구 단일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의대 2천 증원' 정책을 재고하려면 의료계가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한 통일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단서를 걸고 있다.
     
    의협 비대위는 박 위원장과 윤 대통령의 만남이 유의미했다고 평가하면서도, 의료계의 요구는 변함없이 '원점 재논의'라고 강조했다. 또 총선 종료 이후 의협과 전의교협, 대전협 등이 한데 모여 합동 기자회견을 열겠다고 예고했다.
     
    하지만 전날 회의에 참여했던 박 위원장이 이와 상반된 입장을 밝히면서 또다시 의료계가 사분오열 조짐을 보이는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박 위원장과 별개로, 의협도 증원 자체는 논의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보는 비대위와 '의대 정원은 오히려 축소해야 한다'는 강경파인 임현택 차기 회장 당선인 측이 미묘하게 대립하는 모양새다.
     
    임 당선인은 나흘 전 박 위원장과 윤 대통령의 면담에 대해서도 '사전에 협의된 바 없다'며 불편한 기색을 내비친 바 있다. 만남 당일 본인의 페이스북에 박 위원장을 '내부의 적'으로 에둘러 비판하는 듯한 글을 올리기도 했다.
     
    박 위원장은 관련 내용을 보도한 기사를 게시물에 공유하며 "해당 기사는 유감"이라고 적었다. 또 "저는 언제든 대화 환영"이라며 "삼겹살에 소주나 한잔 하시죠. 제가 사겠습니다"라고 부연했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8일 오후 SNS에 올린 글. 페이스북 화면 캡처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8일 오후 SNS에 올린 글. 페이스북 화면 캡처
    이와 함께 일부 의사 커뮤니티 및 전공의 단체 대화방 등에서 돌고 있는 자신에 대한 비판과 소문을 일일이 반박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과 9일 추가로 만난다는 소문에 대해서는 "내일 대통령 안 만난다"고 선을 그었고, 의대 증원을 찬성해온 의사단체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에 가입한 이력이 있다는 일설과 관련해 "가입 및 활동한 적 없다"고 잘라 말했다.
     
    아울러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대거 사직한 지난 2월 20일 대전협이 발표한 7대 요구사항 등은 모두 병원별 전공의 대표들과 논의해 도출된 것임을 강조했다. 전공의 내부에서 합의되지 않은 독단적 결정이라는 비판에 대한 반론이다.
     
    박 위원장은 "2024년 2월 20일 대전협 일곱 개 요구사항과 성명서 초안 모두 제가 작성했고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 대표들과 논의 후에 완성했다. 다시 한 번 확인하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당시 대전협은 긴급 임시 대의원 총회 후 △의대 증원 계획 및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전면 백지화 △과학적 의사 수급 추계기구 설치 △수련병원의 전문의 인력채용 확대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대책 제시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부당한 명령 전면 철회 △업무개시명령 전면 폐지 및 정식 사과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