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전남 건강 버스, 장애인 건강 지킴이 역할도 톡톡



광주

    전남 건강 버스, 장애인 건강 지킴이 역할도 톡톡

    월 1회 장애인 복지 시설 찾아가 대면 의료 서비스 큰 호응

    전라남도의 찾아가는 장애인 건강지킴이 사진. 전라남도 제공전라남도의 찾아가는 장애인 건강지킴이 사진. 전라남도 제공
    전라남도는 전남 건강 버스와 연계한 '찾아가는 장애인 건강 지킴이 시범 사업'을 26일 해남군장애인종합복지관을 시작으로 12월까지 연간 10회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찾아가는 장애인 건강 지킴이 사업은 장애인의 건강 검진 수검률(63%)이 비장애인 수검률(67.8%)보다 낮고 의료 기관을 찾아가기가 어렵다는 점 등을 고려해 장애인의 건강권 보장과 의료 접근성 개선을 위해 추진하고 있다.
     
    최신 의료 장비를 갖춘 전남 건강 버스가 의료 취약 지역 장애인 복지시설을 찾아가 의과, 치과, 한의과 진료 상담과 혈압, 혈당, 구강 검사 등 기본 검사를 실시한다. 건강 고위험 대상자로 판단되면 지역 의료 기관과 보건소로 연계해 사후 건강 관리까지 지원한다.
     
    또한 찾아가는 복지 상담소와,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건강 부스 운영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 위기 장애인을 발굴하고, 일상 속 건강 관리를 지원하는 등 생애 주기별 다양한 통합 사회서비스도 한다.
     
    전남도 이상심 보건복지국장은 "찾아가는 장애인 건강 지킴이 시범 사업은 장애인의 열악한 의료 접근성 제고를 위해 전남 건강 버스와 연계해 올해 처음 실시하는 사업"이라며 "앞으로 성과 분석을 통해 지원 기관과 사업량을 확대하는 등 장애인의 평생 건강 행복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이번 사업과 함께 저소득 장애인의 경제적 안정과 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장애인 의료비 지원 △장애 친화 검진 기관 지정 △지역 장애인보건의료센터 운영 △장애인 진단서 발급 및 검사비 지원 등 장애인 건강 생활 지원 기반 구축에도 앞장서고 있다.
     
    전남 건강 버스는 2022년부터 지방인구소멸대응기금 16억 원을 들여 대형 버스 2대에 의료 장비를 갖추고 의료 취약 지역인 농어촌에 찾아가 의료 서비스를 하는 사업이다. 열악한 의료 여건에 놓인 도민 건강을 지키는 파수꾼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