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2025학년도 대입 '반도체·AI 등 수도권 첨단학과' 정원 569명 순증



교육

    2025학년도 대입 '반도체·AI 등 수도권 첨단학과' 정원 569명 순증

    핵심요약

    서울대 25명·연세대 60명·고려대 99명 증가…비수도권 첨단학과도 576명 늘어

    대학 캠퍼스. 연합뉴스대학 캠퍼스. 연합뉴스
    2025학년도 대입에서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수도권 첨단학과 정원이 569명 순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2025학년도 대입에서 수도권 4년제 대학 12곳의 첨단학과 정원이 569명 증원된다고 10일 밝혔다. 수도권 첨단학과 정원이 늘어난 것은 2024학년도 817명에 이어 두번째다.
     
    앞서 정부는 2022년 말 대학이 교원 확보율만 충족해도 첨단 분야 정원을 늘릴 수 있도록 첨단 분야 증원 관련 요건을 완화한 바 있다. 기존에는 교사(건물), 교지(토지), 교원, 수익용 기본재산과 관련해 정부가 제시한 4대 요건을 100% 충족해야 정원을 증원할 수 있었다.
     
    수도권 외에 부산대, 경북대, 경상국립대 등 비수도권 대학 10개교의 첨단 분야 정원도 576명 늘어난다. 2025학년도에 첨단학과 정원은 전국적으로 총 1145명 늘어나는 것이다.
     
    종로학원이 주요 대학별 증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는 첨단융합학부 정원(218명)이 그대로 유지된 가운데 25명 정원의 스마트시스템과학과가 신설됐다.
     
    연세대는 274명에서 334명으로 60명, 고려대는 384명에서 483명으로 99명 각각 증원됐다.
     
    연세대에서는 인공지능학과와 컴퓨터과학과가 통합된 첨단컴퓨팅학부 정원이 124명에서 149명으로 25명 늘고, 35명 정원의 지능형반도체전공이 신설됐다.
     
    고려대에서는 전기전자공학부 정원이 242명에서 216명으로 26명 줄었지만, 인공지능학과가 정원 105명 규모로 신설됐고, 스마트보안학부 정원도 32명에서 52명으로 20명 늘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에서만 첨단·계약·신설학과 모집정원이 2024학년도 876명에서 1060명으로 184명 늘어난 셈이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첨단학과 증원, 대기업 계약학과 등이 상위권 대학, 수도권 대학 등에 쏠려져 있어 지방권 소재 사립대학 신입생 모집에 상당한 어려움 발생하고, 상위권 대학, 서울 등 수도권 쏠림현상이 더욱 가속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도권 쏠림이나 지방대 위기는 글로컬대학이나 대학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통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