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김진태 강원지사 "2025년 새해에도 미래산업 육성 주력"

강원

    김진태 강원지사 "2025년 새해에도 미래산업 육성 주력"

    강원CBS·강원영동CBS 최진성의 위클리오늘(제작 강민주 PD, 진행 최진성 아나운서)

    김진태 강원지사 신년 인터뷰
    "반도체, 바이오, 수소 미래차, 푸드 테크, 방위 산업 등 육성 주력"
    "민생 위해 자금 풀고, 관광객 2억 명 목표로 준비할 것"

    강원CBS.강원영동CBS 시사프로그램 <최진성의 위클리오늘>에 출연한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강민주 PD강원CBS.강원영동CBS 시사프로그램 <최진성의 위클리오늘>에 출연한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강민주 PD
    ◇최진성> 최진성의 위클리오늘 2025 올해 신년 인터뷰는 '음악으로 위로하는, 음악과 함께하는 도정 이야기'로 준비했는데요. 최진성의 위클리오늘에 출연할 때마다 다양한 곡을 선정해 오셨고 때로는 한 소절 불러주시기도 한 분입니다.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모시고 음악과 함께하는 2025년 도정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김진태 지사 스튜디오에 나와 주셨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김진태> 네, 안녕하십니까?

    ◇최진성> 도민과 청취자분들께 새해 인사 부탁 드리겠습니다.
     
    ◆김진태> 도민 여러분 그리고 우리 CBS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김진태 도지사입니다. 드디어 기다리던 새해가 밝았습니다. 아마 여러분들 모두가 그 어느 때보다도 차분하게 맞이했던 새해가 아닐까 이런 생각이 듭니다. 먼저 우리 청취자 여러분 또 우리 최진성 아나운서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작년에 제가 우리 CBS에 출연한 거를 이렇게 해보니까 한 서너 번 1년 동안 서너 번 된 것 같은데요. 올해는 좀 더 자주 찾아뵙기를 기대하겠습니다. 자주 좀 불러주시고요.

     올해는 그 푸른 뱀의 해라고 하죠. 생명과 지혜를 뜻하는 뱀이 껍질을 벗듯이, 그런 해입니다. 그래서 각종 사건 사고로 힘들었던 연말이었는데 모두가 이 뱀처럼 힘과 지혜를 모아서 위기를 멋지게 바꿀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최진성> 올해 첫 행보로 일일 가스 검침원을 하셨어요. 좀 이색적이라고도 생각이 들 수가 있는데 어떤 의미가 있었을까요?

    ◆김진태> '요즘처럼 어려울 때 무엇을 좀 해야 될까' 이렇게 생각하다가 '모든 것은 현장에 답이 있겠구나' 그래서 '도민 속으로 또 나가 보자'한 겁니다. 옛날에 선거 운동할 때 뭐 이런저런 현장을 많이 다녔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일일 가스 검침원으로 가서 가스 누출되는 거 점검기를 들고 제가 이렇게 집집마다 다니면서 가스 점검도 하고, 평소에도 그거 어떻게 하는 건가 좀 궁금했는데 실제로 체험도 해보면서 안전, 요즘 화두로 떠오른 안전에 대해서 좀 더 경각심을 가지려고 했던 겁니다.
     
    ◇최진성> 올 한 해 도민 속으로 도민과 더 밀접하게 소통하는 김진태 지사의 행보를 기대하겠고요. 저희가 소개를 해드렸지만 오늘은 '음악과 함께하는 신년 인터뷰, 도정 이야기'입니다.

     ◆김진태> 맞습니다.
     
    ◇최진성> 음악은 원래 좋아하시죠? 
     
    ◆김진태> 네, 좋아합니다.

     ◇최진성> 그래서 또 청취자와 도민 분들과 음악도 들으면서 또 올 한 해 도정의 주요 사업과 계획들 들어보는 시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악부터 그럼 들어볼까요?
     
    ◆김진태> 아, 먼저 이 그 콘셉트를 잘 잡으신 것 같고요. 100마디 말보다 좀 힐링이 필요한 때이니 만큼 멋진 노래로 좀 다가가고 싶습니다. 제가 좀 고민을 해봤는데요. 요즘 알 만한 분들은 다 알고 계시는 우리 가수 가호 님의 '시작'이라는 노래로 올 한 해를 힘차게 시작했으면 좋겠습니다.

    ◇최진성> 네, 가호가 부르는 '시작'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 OST인데요. 먼저 듣고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 가호 - 시작 ♫
     
    ◇최진성> 가호의 '시작',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의 첫 번째 선곡 들어봤습니다. 이 곡 뭐 저도 참 많이 들었던 곡입니다.

    ◆김진태> 네, 젊은이들 사이에서 특히 뜨고 있는 OST 곡에서 나온 그런 곡인데요. 제목부터가 마음에 들고 아주 멜로디도 물론 가슴에 와닿습니다. 올해도 멈추지 않고 우리 강원특별자치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자 이런 뜻이고요. 저희가 그래서 신년 사자성어를 이번에는 도민 공모 방식으로 모집을 했습니다.
     
    ◇최진성> 네, 직접 정하지 않으시고.

    ◆김진태> 우리 도민분들의 지혜도 빌릴 겸 사실 솔직히 말씀드리면, 그거 정하는 게 엄청 어렵거든요. 그렇게 해서 우리 도민분들에게 인터넷 공모를 해서 당선된 게 무엇이냐 (봤더니), '개신창래(開新創來)'. 이건 좀 보여드려야 되는데 (한자 설명) 새로움을 열고 '열 개', '창대' '미래를 창조한다' 그런 뜻입니다. 그러니까 '새롭게 미래를 창조한다'는 뜻이기 때문에 지금 시작한 우리 강원특별자치도 미래 산업 글로벌 도시, 여기 아주 딱 맞는 것 같습니다.
     
    ◇최진성> 새로움을 열고 미래를 창조한다, 개신창래(開新創來). 그러면 올 한 해에 펼쳐나가실 주요 도정과 사업들 또 도민 분들께 전하고 싶은 이야기들 말씀해 주시죠.

    ◆김진태> 우리 강원특별자치도의 비전인 미래 산업을 계속해서 키워 나갈 겁니다. 이것은 뭐 1~2년 해서 될 게 아니고요. 앞으로 드라이브를 더 확실히 걸어야 됩니다.
     
     거기에는 이 반도체, 바이오, 수소 미래차, 푸드테크, 방위산업 지금 쭉 제목만 말씀드린 것만 해도 6가지나 되는 6대 산업으로 이렇게 되어 있는데요. 반도체 바이오 수소는 미국이건 전 세계 어느 나라건 다 지금 달려들어서 하고 싶어 하는 그런 분야입니다. 거기에다가 미래차, 푸드테크 연어 산업, 또 강원 K-방산 이것까지 지역 우리 지역에 맞는 것을 더 이렇게 특화돼서 다각화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민생이 중요하죠. 그래서 오늘도 13개 관계기관이 다 모여서 민생 경제가 어려우니 우리 예산을 확실히 신속하게 전부 집행을 합시다, 이렇게 지금 결의를 했습니다.  우리 도 예산 약 8조에다가 국토관리청과 조달청, 금융권의 이런 예산을 다 합하니까 우리 강원도 전체 그 GRDP(지역내총생산)의 약 40% 정도가 거의 커버가 되겠더라고요. 이렇게 많은 정책 자금들을 풀고 이렇게 하니까 여러분들 좀 힘내시면 되겠습니다.

     한 가지만 더 말씀드리면 올해가 강원 관광의 해입니다. 그래서 관광객 2억 명을 목표로 이렇게 지금 야심차게 우리가 준비를 했는데, 좋은 것은 연말에 동해선 또 중앙선이 새로 개통이 되지 않았습니까? 그래서 강릉에서 부산까지 갈 수 있고 또 원주에서도 갈아타지 않고 부산까지 갈 수 있습니다. 부산 경남권의 거대 시장을 다 끌어들일 수 있는 교통 인프라가 딱 갖춰져 있기 때문에 저희들 열심히 준비를 하겠습니다. 지금 한참 하고있는 화천 산천어 축제 이런 것들을 이달의 축제로 선정을 해서 전 세계 글로벌 시장에다가 알려나가고 있습니다.
     
    ◇최진성> 최근에는 강원특별자치도 제2청사의 개청 2주년째가 되지 않았습니까.

    ◆김진태> 네, 1년 반.
     
    ◇최진성> 그렇죠. 1년 반. 이제 햇수로는 2년째를 맞게 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도 또 많은 말씀 해 주셨더라고요.

    ◆김진태> 그렇지 않아도 어제 강릉 제2청사에 가서 하루 종일 근무하면서 제2청사의 새로운 비전도 발표하고 이렇게 했습니다. 돌이켜 보면 도청 제2청사를 연 지 이제 1년 반 됐습니다. 1년 반 됐는데 돌이켜 보니까 그래도 좀 자리를 잡아가는 것 같습니다.

     거기 지금 3개국이 내려가서, 미래산업국 관광국 해양수산국, 각자의 역할에 맞춰서 이 조직 체계가 이제 딱 좀 자리를 잡아가고 있고요. 무엇보다 거기 보낸 그 우리 직원들이 3백명 정도가 이렇게 되는데요.

     처음에는 막 어색해하고 갑자기 주거지를 옮겨서 좀 힘들어하는 직원들도 있었는데 이제 자리를 잡았어요. '강릉 지역 여기 괜찮다' 해서 거기 정착하는 직원들도 많아서 그 지역 민생에도 도움이 되고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또 거기에 근무하는 사람들한테는 인사 혜택을 줘서 약속대로 또 원하는 부서에 이렇게 배치를 하고 승진도 잘 시켜주고 있기 때문에, 직원들이 아주 지금 사기가 높아져 있어서 좀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강원CBS.강원영동CBS 시사프로그램 <최진성의 위클리오늘>에 출연한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강민주 PD강원CBS.강원영동CBS 시사프로그램 <최진성의 위클리오늘>에 출연한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강민주 PD
    ◇최진성> 특별히 최근에 또 영동 남부권에 대한 균형 발전에 대해서도 말씀을 해 주셨는데요, 어느 곳 하나 소홀한 마음을 느끼지 않도록 많이 돌봐주셔야 될 것 같습니다.

    ◆김진태> 네, 그렇게 하겠습니다. 영동 지역의 6개 시군에다가 소위 폐광 지역이라고 하는 영월 정선 태백을 포함시키고 올림픽 유산을 가지고 있는 평창까지 이렇게 하니까 딱 10개 시군이더라고요. 강원도가 18개 시군인데 그 10개 시군을 집중적으로 도와드리는 행정 거점이 (제2청사로) 구축됐기 때문에, 점점 앞으로 거기에 힘을 많이 싣도록 하겠습니다.
     
    ◇최진성> 조금 전에 말씀하시기로 동해선 중부선 등 SOC에 대한 부분들을 얘기해 주셨지만, 또 좀 해결하고 만들어가야 될 우리 강원 지역의 교통 SOC에 대한 계획들도 있으시죠?

    ◆김진태> 네, 지금 바둑판 모양으로 착착 진행이 되고 있는데요. 그동안은 이렇게 세로 횡단으로 연결되는 노선들이 많았습니다. 지금 영동 고속도로도 그렇고요. 또 지금 동서고속철도 그렇고 다 서울에서 뭐 강릉도 가고 속초도 가는 이런 식으로 해왔는데 이제는 종단 노선도 우리가 준비를 해야 됩니다. 강릉에서 부산도 가고 원주에서 부산도 가고 이게 다 종단 개념인데요.

     이번에 저희가 장기적으로 또 아주 야심차게 준비하고 있는 것은 춘천에서 원주를 가는 철도입니다. 그럼 이제 중앙선에 춘천, 또 나아가서는 철원까지 연결이 되는 거거든요. 이렇게만 되면 우리 드디어 '종횡 격자망' 이것이 완성이 될 겁니다.
     
    ◇최진성> 춘천에서 원주요. 주변에서도 사실 많은 얘기는 '했으면 좋겠다'라는 마음은 있었는데, 저는 여기서 지금 처음 듣는 것 같아요.

    ◆김진태> 그거를 저희가 준비해서 국가 5차 철도망 계획에다가 지금 넣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좀 늦었죠. 다른 데가 이렇게 갖춰지고 있는데, 그 중요한 춘천과 원주가 철도로 연결이 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철원에서 춘천으로 홍천을 거쳐서 원주까지 가는 것, 이거를 장기 계획으로 국가 계획에다가 넣으려고 합니다.
     
    ◇최진성> 최진성의 위클리오늘, 오늘은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모시고 음악과 함께하는 도정 이야기로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확실히 음악이 있다 보니까 또 주어진 시간이 굉장히 좀 짧습니다.

    ◆김진태> 네, 그러네요.
     
    ◇최진성> 도민분들께 해야 될 말씀, 또 꼭 알려야 되는 이야기들이 있으실 텐데 그건 올해 도정으로 보여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김진태> 알겠습니다.

     ◇최진성> 자, 마쳐야 될 시간이 벌써 다 됐는데요. 마지막으로 인사를 나누면서 김진태 지사의 두 번째 추천곡 들어보려고 합니다. 어떤 곡 준비하셨나요?
     
    ◆김진태> 최근 음악 차트를 휩쓴 노래인데요. 황가람님의 '나는 반딧불'이라는 노래입니다. 개똥벌레가 주인공이고요. 자신을 믿고 절망에서 일어나라는 가수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이 다 묻어나는 그런 노래입니다. 안팎으로 좀 혼란스러운 이런 때에 우리 모두의 마음에 위로가 되는 이 노래를 선물하고 싶습니다.

    ◇최진성> 네, 황가람의 '나는 반딧불' 이 곡 전해 드리면서 오늘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와의 이야기는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귀한 시간 나눠주셔서 고맙습니다.
     
    ◆김진태> 고맙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 황가람의 - 나는 반딧불 ♫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