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제주도 제공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여부를 묻는 제주도민 인식조사가 제주도의회 차원에서 진행돼 또다시 찬반 갈등을 부추길 거라는 우려가 나온다.
18일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에 따르면 강상수 의원(국민의힘, 서귀포시 정방·중앙·천지·서홍동)은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도민 인식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행자위 전문위원실은 5월이나 6월쯤 한라산 케이블카 찬반 입장 등을 묻는 도민 인식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토론회도 계획하는 등 공론화 작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다만 확보된 예산이 1500만원이어서 도민참여단 모집을 통한 숙의토론보다는 전화면접 방식의 여론조사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 내용은 한라산 케이블카에 대한 찬반부터 설치시 장점과 단점, 고려해야할 사항은 무엇인지, 설치 구역은 어떻게 설정할지 등이다.
전문위원실은 국내 관광객 감소로 관광산업은 물론 지역경제 전반의 침체가 장기화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가 필요한 지에 대해 도민의견을 묻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금은 케이블카를 설치한다고 해도 과거처럼 환경훼손이 심하지 않고 노인과 장애인도 한라산을 감상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어 인식조사를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세계자연유산이자 천연보호구역인 한라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것을 놓고 도민사회 반발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실제로 제주에선 1960년대부터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논의가 있어왔지만 예산문제와 더불어 환경훼손 우려로 번번이 무산됐다.
1968년, 1977년, 1996년, 2005년, 2010년에도 각각 추진됐지만 환경훼손 여론에 따라 도민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부적절 결론이 났다.
오영훈 제주지사도 한라산 케이블카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피력하고 도심항공교통(UAM)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강상수 제주도의원이 2023년과 2024년 2차례나 도정질문을 통해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필요성을 주장했지만 오 지사는 장애인과 노인 등 교통약자의 한라산 탐방은 UAM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했고 고성이 오가는 일도 있었다.
'관광산업 발전' 대 '생태계 파괴'라는 해묵은 논쟁을 불러온다는 점에서 제주도의회 차원의 인식조사는 도민사회를 또다른 찬반 갈등으로 몰고갈 거라는 우려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