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왼쪽),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 (사진=자료사진)
자유한국당 황교안, 바른미래당 손학규 등 두 야당 대표가 4‧3 보궐선거의 격전지인 경남 창원성산 선거에 '올인'하고 있다.
창원은 이번 보궐선거의 최대 요충지로 떠오르는 분위기다. 2석의 미니 보선 중 1개 지역구에 불과하지만, 무게감은 다르다. 다른 보궐 지역인 경남 통영고성이 상대적으로 한국당에 유리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인 가운데, 창원이 사실상 유일한 격전지가 됐기 때문이다.
황, 손 대표가 주목받는 이유는 '구도'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민중당 등 범(凡) 진보진영이 단일화에 사활을 걸고 있는 사이 두 대표는 자신의 이름을 걸고 각 당의 후보들을 지원사격하고 있다.
시동은 손 대표가 먼저 걸었다. 지난 2월말경 시내 아파트를 한 채 빌려 상주하고 있다. 황 대표도 21일부터 상주를 시작하며 '원룸 캠프'를 차렸다.
◇ 黃, 통영 이어 창원 '2승' 경우 '대권 행보' 탄력한국당은 당초 예상을 넘어서는 큰 격차의 승리를 기대한다. 근거는 추세와 구도 면에서 불리하지 않다는 것이다. 지역 사정에 밝은 중진 의원은 범(凡)민주 진영이 추진 중인 단일화의 맹점을 지적했다.
민주당 후보로 공천된 권민호 전 거제시장이 2018년 1월 민주당에 입당하기 전까지 보수 진영에서 활동했던 이력을 근거로 들었다. 권 전 시장의 조직 중 옛 새누리당 출신이 다수인데, 정의당으로 단일화될 경우 대거 이탈할 것이란 얘기다.
지역적 특수성이 민주노총 등 노동계의 세(勢)가 강한 점 때문에 정의당, 민중당 등이 자신들 위주의 단일화를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노회찬 전 의원도 정의당 후보로 당선됐었다.
단일화 자체가 타협되기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장성철 공감과 논쟁 정책센터 소장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보궐 이후 21대 총선까지 1년밖에 안 남았다. 민주당이든 정의당이든 다른 당에 단일화 해주면 조직이 와해될 우려가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지역의 역대 선거 결과를 보면 단일화가 성사되지 않았을 때는 보수 진영의 후보가 당선됐었다.
때문에 한국당은 '다 거는' 전략을 밀어붙이고 있다. 황 대표가 이날 강기윤 후보 출정식에 참석한 데 이어 나경원 원내대표 등 지도부가 총출동했고,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태호 전 경남지사 등 지역에서 인지도가 높은 인사들까지 가세했다.
황 대표는 유세에서 최근 불경기로 악화된 지역 민심을 파고 들었다. 그는 "한국 경제의 견인차였던 창원 경제가 대기업이 휘청거리고, 중소기업이 줄도산을 걱정하는 등 엉망"이라면서 "막무가내로 탈원전을 밀어붙이는 정부 때문에 창원 대표기업인 두산중공업이 직격탄을 맞아 협력업체 300개가 문을 닫을 위기"라고 주장했다.
황 대표로선 통영에 이어 창원까지 자신이 공천한 후보가 승리할 경우 '정치 초짜' 타이틀을 떨쳐내고 리더십이 안착될 수 있다. 내심 대권으로 직행하는 티켓까지 노려볼만 하다.
그러나 이 같은 상승세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정부 실정에 의한 반사이익을 손쉽게 얻으면서 내부 개혁 등 혁신의 동력을 상실할 것이란 주장이 그렇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부정하는 한편, 5‧18 발언자 징계를 미루는 등 당의 우경화가 가속화될 것이란 우려도 같은 맥락에서 나온다.
◇ 孫, 패스트트랙으로 도전 받는 '입지' 타개해야
손 대표는 황 대표에 비해 훨씬 절박한 입장이다. 최근 정치적 명운을 걸고 추진했던 연동형 비례제가 당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에 대한 반론 때문에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 선거 결과와 맞물려 있다.
때문에 시장 구석구석까지 지역구를 몇 바퀴씩 도는 강행군을 펼치고 있다. 자신이 공천한 이재환 후보에게 특별당비를 지원하는 등 총력 지원도 이뤄졌다.
손 대표로선 공식 목표는 당선이지만 '두 자릿수 이상' 의미 있는 득표를 노리고 있다. 손 대표 측 관계자는 "이번 선거에서의 성과를 토대로 내년 총선에서도 후보를 내야 하고, 다당제의 명분을 지켜내야 한다"고 말했다.
손 대표가 받아들 성적표는 여야 간 패스트트랙 대치 정국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큰 격차로 패배할 경우 손 대표를 비롯해 패스트트랙에 거취를 걸었던 김관영 원내대표 등 지도부의 리더십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