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가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한덕수 국무총리는 10일 "저를 비롯한 전 내각은 어떠한 경우에도 국가의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국정에 한 치의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혼신의 노력을 다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 총리는 '12·3 내란 사태' 이후 처음으로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국무총리로서 이와 같은 상황이 초래된 데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여러모로 어렵고 힘든 시기에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드려 다시 한번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국회와 정치권, 종교계 등에서도 국정의 조속한 안정과 국민통합에 함께 해 주실 것을 간절히 호소드린다"며 정부는 오직 국민의 뜻에 따라 국정의 조기 안정화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외교부 장관을 중심으로 전 내각은 한미, 한미일, 그리고 우리의 우방과의 신뢰를 유지하는 데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란다"며 "군은 국가 안보에 추호의 빈틈이 없도록 굳건한 안보태세를 확립하고, 만에 하나 북한이 도발하면 언제든지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만반의 대비 태세를 유지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또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등 경제부처에는 "경제 불안 심리가 확산되고 금융시장이 동요되는 일이 없도록 경제부총리를 중심으로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면밀히 대응해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한편 12·3 내란 사태 이후 윤 대통령 대신 국정 운영 전면에 나선 한 총리의 행보를 두고 '위헌적'이라는 지적은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한 총리는 내란 공범도 아니고 주범 격"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한 총리를 내란죄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하고 내란 특검 수사 대상에 포함하는 한편, 탄핵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