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지난해 전국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가 15.6㎍/㎥을 기록해 관측을 시작한 2015년 이래 최저치를 보였다고 환경부가 11일 밝혔다.
우리나라와 인접한 중국 동북부 지역의 지난해 초미세먼지 농도 역시 2015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한 영향이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정책 노력, 기상 여건이 작용했다는 평가다.
이날 발표된 초미세먼지 농도는 전국 531곳 도시대기측정망 관측값을 분석한 것으로, 2015년 대비 38.1%(25.2→15.6㎍/㎥), 전년(18.2㎍/㎥) 대비 14.3% 감소한 수치다.
등급별로 초미세먼지가 '좋음'(전국 일평균 15㎍/㎥ 이하)인 날은 관측 시작 이래 가장 많은 212일을 기록했다.
반면, '나쁨'(전국 일평균 36㎍/㎥ 이상) 등급을 넘어선 일수는 10일로 역대 가장 적었고, '매우 나쁨'(전국 일평균 76㎍/㎥ 이상) 일수는 전국적으로 단 하루도 발생하지 않았다.
초미세먼지 농도 등급(㎍/㎥)은 △좋음 0~15 △보통 16~35 △나쁨 36~75 △매우 나쁨 76 이상으로 분류된다.
환경부 제공지난해 전국 17개 시도별 초미세먼지 농도는 12.3~18.9㎍/㎥ 수준으로 제주와 전남이 12.3㎍/㎥로 가장 낮고, 강원(12.9㎍/㎥)과 경남(13.0㎍/㎥) 순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도 중 관측 이래 가장 크게 초미세먼지 농도가 개선된 지역은 전북지역으로, 2015년 대비 54.8%(35.4→16.0㎍/㎥) 개선됐다. 전남50.4%(24.8→12.3㎍/㎥), 강원 50.0%(25.8→12.9㎍/㎥) 순으로 농도 감소율이 컸다.
전국 153개 시군 가운데 도시대기측정망이 모두 설치된 2020년 이래 농도 개선 폭이 가장 큰 지역은 강원 태백 48.9%(18.2→9.3㎍/㎥), 전남 구례 42.9%(18.4→10.5㎍/㎥), 충북 보은 41.4%(21.5→12.6㎍/㎥) 순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해 초미세먼지 농도가 개선된 데 대해 "국내 정책효과, 국외 유입 감소, 양호한 기상 여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결과"라고 분석했다.
정책 측면에서는 산업과 수송 부문 저감과 취약계층 가정용 친환경 보일러 보급, 농촌 지역 불법소각 방지를 위한 영농폐기물 공동집하장 확충 등의 정책이 시행됐다.
환경부 제공국외 영향 요인 중 하나인 중국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세인 점도 주효했다.
우리나라와 인접한 중국 동북부 징진지(베이징, 텐진, 허베이) 및 주변 지역 초미세먼지 농도는 2024년 42.2㎍/㎥로, 2015년 대비 45.2%(77→42.2㎍/㎥) 개선, 2015년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상하이를 포함한 중국의 장강 삼각주 권역도 37.7%(53→33㎍/㎥) 감소해 2015년 이후 세 번째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기상 상황은 2023년과 연평균 기온·습도·풍속 등은 유사했지만, 강수일수가 증가하고 대기 정체 일수가 줄어든 것이 초미세먼지 농도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고 환경부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