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부동산 침체, 아파트 이름 바꾸기로 벗어날까?



부동산

    부동산 침체, 아파트 이름 바꾸기로 벗어날까?

    부산지역 아파트 이름 바꾸기 문의 잇따라…집값 인상 걱정인 세입지와 신경전도

    아파트 자료사진.

     

    지난 2000년대 초·중반 유행처럼 번진 아파트 이름 바꾸기가 최근 부동산 침체 속에서 다시 시작되고 있다.

    주상복합 등 고가의 새 아파트가 대부분인 브랜드 아파트의 이미지를 빌려 집값을 올려보자는 의도인데, 이 같은 움직임을 놓고 집주인과 세입자 간의 갈등도 불거지고 있다.

    지난 2004년 대기업 건설사가 완공한 부산 북구의 A 아파트는 최근 입주자 대표회의를 열고 아파트 이름을 바꾸기 위해 찬반 투표를 진행했다.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래미안', '자이', '캐슬' 등 유명 브랜드로 이름을 갈아탈 경우 새 아파트라는 이미지와 함께 고급스러운 분위기까지 더해져 자산가치 상승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개명을 원하는 집주인과 반대표를 던지려는 세입자 간에 신경전이 벌어지면서
    세입자를 중심의 불만의 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이 아파트에 2년째 전세로 살고 있는 한 세입자(33)는 "주인이 개명 찬반투표에 찬성했느냐고 물어보는 데 솔직히 말할 수 없었다"며 "또 '세입자가 아닌 실소유자를 상대로 투표를 진행했어야 했다'고 말해 당혹스러웠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또 다른 세입자(31.여)는 "아파트 내부 곳곳에 수리할 곳이 많고, 인근 브랜드 아파트에 비해 편의시설이 현격히 부족하다"며 " 그런데도 겉 페인트칠만 해서 이름을 바꾸면 실질적으로 개선 되는 건 없는데, 매매가와 전세금만 올라갈 것"이라고 꼬집었다.

    재건축이나 리모델링도 아닌 단순 외곽 도색으로 인근 브랜드 아파트와 같은 시세를 받기 위한 꼼수라는 지적이다.

    북구청은 지난 몇 년 동안 관내 이름을 바꾼 아파트가 하나도 없었지만, 올해 하반기 들어서 A 아파트뿐 아니라 금곡과 화명, 덕천동 등 일반 아파트로부터 개명문의 전화를 여러 차례나 받았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