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KERI, 전기차 추진모듈 평가시스템 구축 개발



경남

    KERI, 전기차 추진모듈 평가시스템 구축 개발

    구대현 박사팀, 성능평가용 다이나모시스템 구축

     

    한국전기연구원(원장 김호용·이하 'KERI')은 27일 "국내 최초로 소.중.대형 전기자동차의 핵심추진모듈(추진전동기, 인버터, DC/DC 컨버터)을 시험할 수 있는 성능평가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KERI 전동력연구센터 구대현 박사팀은 시험 부하용량과 최고속도를 모두 만족하는 국내 최고 사양의 전기자동차용 추진모듈의 평가설비를 구축했다.

    연구팀은 국내외 선진기업의 전기자동차 개발 동향과 성능 평가시스템의 동향을 면밀히 조사해 추진전동기 및 드라이브를 출력과 속도에 따라 측정 정밀도, 안정성을 높인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KERI의 평가시스템은 소형급으로는 연속출력 60kW 15,000rpm, 중형급으로는 연속출력 150kW 15,000rpm, 대형급으로는 연속출력 250kW 12,000rpm이 시리즈로 구성됐다.

    구축된 시스템은 ISO 10816-3 기준의 허용 진동 이내로 전 속도 영역에서 안정적으로 운전이 가능하다. 데이터 취득장치(Data Acquisition System: DAS)는 토크, 속도, 전력, 전압, 전류, 온도, 저항 등도 동시 취득이 가능하도록 구성됐다. 또 항온항습 챔버를 구성해 환경시험이 가능하며 대용량 직류전원을 필요로 하는 시험도 가능하도록 구축됐다.

    이번 평가시스템 구축으로 정확한 성능 특성 분석과 이를 통한 전기차의 성능 개선, 안정성 확보를 한층 촉진할 수 있게 됐다. 또 업계 기술지원 등을 통해 전기자동차의 경쟁력 향상과 보급촉진, 조기 상용화를 위한 기반 마련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사업은 국내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전기자동차의 성능 향상, 기술 지원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기술연구회의 일반연구사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전기자동차는 향후 고효율, 경량화를 위해 전동기(모터)가 고속화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전개되고 있다.

    고효율화와 신뢰성 확보를 위한 시험평가는 전기자동차 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전기자동차의 핵심 추진모듈인 인버터 및 전동기는 차량의 성능과 승객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한편, KERI는 지난 1988년 전기자동차 관련 연구를 시작한 이후 1993년 국내 최초로 전기자동차를 개발해 시범운행에 성공하는 한편, 핵심부품인 2차전지에서부터 모터, 충전인프라 테스트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전기자동차의 전 분야에서 관련 기술을 축적해 왔다.

    특히 최근 전기자동차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는 상황에서 전기추진연구본부를 통해 전기차 시대를 대비할 수 있는 요소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과 표준 선점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