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 모녀 사건의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가족이 함께 목숨을 끊는 안타까운 소식들이 잇따르고 있다. 30대 주부가 네 살배기 아들과 함께 아파트에서 몸을 던지는가 하면, 50대 부부가 연탄불을 피워 목숨을 끊고, 40대 가장이 지체장애 딸과 어린 아들을 데리고 세상을 등졌다.
힘겨운 생활고와 신병, 자식의 장애로 인한 고통 등이 겹치면서 극단의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어디에서도 도움의 손길을 찾지 못한 채 마지막까지 삶과 죽음을 저울질하다 결국 생명을 포기한 이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아프다. 사회안전망에 구멍이 뚫렸다.
사회 안전망 허술과 복지 사각지대에 대한 비판이 잇따르자, 보건복지부가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부랴부랴 대책을 내놓았다. 3월 한 달 간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어려움에 처한 가구에 대한 일제조사를 벌인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단전·단수 가구나 쪽방지역, 복지급여 신청 후 탈락한 가구 등을 조사해 필요한 지원을 하겠다는 것이다. 당사자의 신청에 의해서만 지원되는 복지제도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행정망을 통한 안내와 홍보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국가 중 이혼율, 저출산율과 함께 자살률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불명예가 아닐 수 없다. 국민소득 3만 달러시대가 눈앞이고 '국민행복시대'를 노래하지만, 행복은 개인들의 구체적 삶에서 점점 멀어져가고 있는 양상이다.
복지는 이제 시혜가 아니라 국민의 권리이다. 그동안 우리의 복지수준은 개인과 가정의 불행을 당사자에게 대부분 떠맡겼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선거철이면 어김없이 복지를 확충하겠다 목소리를 높이다가도 실제 예산편성 때는 순위에 밀려 제자리걸음하기 일쑤였다.
그나마 선정 대상도 적은데다 규정도 매우 까다로워 정작 절실한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는 너무나 거리가 멀었다. 그런 점에서 정부의 이번 조사가 일시적인 미봉이 아니라 근본적인 대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와 정책을 적극적으로 보완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또한 이제 찾아가는 복지로, 복지에 대한 개념 전환이 확실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의 극단적 선택에 우리 개인들도 책임을 면할 수 없다. 고통과 절망의 늪에 빠져 있는 이들에게 누구도 위로와 도움이 되지 못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이웃을 사랑하라'는 하나님의 지상명령에 따라 구제사업을 비중 있게 펼치고 있는 지역 교회들의 손길도 미치지 않았다. 사회적 빈곤계층과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절실하다. 더 이상 극단의 선택이 발생하지 않도록 종교계와 시민사회의 노력이 보태져야 한다.
또한, 생활고나 고독, 분노 등으로 인한 자살충동도 스스로 인내하고 다스려야 한다. 어떤 명분으로도 생명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그 어떤 것도 생명보다 더 소중할 수는 없다. 하물며 어린 자식을 비롯한 가족의 생명까지 함께 말살하는 행위는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생명의 존엄성을 다시 일깨우는 가치관의 일대 각성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사회가 풍요롭고 자유로와질수록 생명에 대한 외경과 이웃에 대한 관심은 반비례로 줄어드는 추세인 것 같다. 어린 아이들까지도 걸핏하면 옥상에서 뛰어내리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왕따당하는 게 괴로와서, 성적이 기대만큼 오르지 않아서, 부모에게 야단맞아서... 이 따위 고민들이 생명을 스스로 버릴 만큼 무겁고 위중한 사안일까. 결단코 아니다. 생명존중, 이웃사랑 캠페인이 거국적으로 전개돼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