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1일 여야간의 운명을 가른 총선에서 눈의 띄는 현상은 지역주의로의 회귀와 보수층의 강력한 결집이다.
지역주의는 오히려 강력해져 새로운 지역주의 시대로 퇴행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당장 지역구도 타파를 내세우며 사지(死地)로 뛰어든 민주통합당 김부겸 최고위원과 새누리당 이정현 후보가 고배를 마셨다.
지역별로 당선자 분표를 보면 지역주의 고착화는 확연하게 드러난다. 새누리당 텃밭인 경남(총 16석)에서 김해갑만 민주통합당에 양보하고 경북(15석)과 강원(9석)은 전석을 휩쓸었다.
강원도의 경우 민주당 최문순 도지사가 6·2지방선거에서 승리해 광역단체장을 맡았고, 두 당이 양분하면서 '야도(野都)'라는 별칭을 얻었지만 이번 총선에서 이런 변화가 원점으로 돌아갔다.
영남권에서 유일하게 야권성향이 강한 '노동자의 도시' 울산과 창원에서도 야당은 한석도 건지지 못했다. 영남에서 그나마 생겼던 지역주의의 균열이 되레 봉합된 것이다.
새누리당의 압도적인 승리를 이끈 보수층의 강력한 결집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민주당 핵심관계자는 "어느 역대 선거 못지않게 보수층 결집도가 단단했다"고 말했다.
1
보수층의 결집은 선거초반 이명박 대통령 친인척 비리 등 각종 악재 속에서 야권이 정권심판론을 들고 공세를 펴면서부터 시작됐다.
2010년 6·2지방선거 이후 몇 차례의 크고 작은 선거에서 여당이 힘을 못쓰자 "정권까지 넘어갈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나온 반응으로 보인다.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여론조사에서 야권이 앞서는 것으로 전망되면서 오히려 보수층에서 숨은표가 형성됐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총선 이후 바닥을 보인 민심이 대선 과정에서 지속되느냐 여부다. 이런 정치적 요인은 새누리당에게 유리한 측면이 강하다.[BestNocut_R]
그렇다고 새누리당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대세론을 말하기 이른 면도 없지 않다.
정당 득표율(비례대표)에서 민주당(36.5%)과 통합진보당(10.3%)이 합치면 새누리당(42.8%)을 압도하기 때문이다. 민심은 야권에서 어떤 인물을 내세우느냐에 따라 새로운 싸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서울지역은 광역단체장, 지방의회에 이어 국회까지 야권에 넘겨주면서 이를 새누리당이 되찾기까지는 험난한 여정이 예고돼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여야는 당분간 보편적 복지정책과 재벌 개혁 등 정책노선을 놓고 치열한 다툼을 벌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