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당정청 만난게 고작 두번"… 김무성 靑에 '소통' 압박



국회/정당

    "당정청 만난게 고작 두번"… 김무성 靑에 '소통' 압박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3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지난 2년 동안 두 차례밖에 열리지 않았다"면서 고위 당·정·청 회의 '수시 개최' 의지를 밝혔다. 공무원연금 개혁, 건강보험 체제 개편 등 주요 정책에 당의 의사를 적극 반영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먼저 "대한민국이 성공하려면 박근혜정부가 성공해야 한다. 당은 박근혜정부와 공동운명체다. 당이 든든한 지원군이 돼 대통령의 어려움을 돕겠다"고 전제를 깔았다.

    그러면서 김 대표는 "대통령과 새누리당 대표간 정례회동을 통해 소통을 강화하고, 국정이 원활히 돌아가도록 하겠다"고 대통령과 직접 소통을 추진한다는 의지를 밝혔다.

    아울러 고위 당·정·청 회의도 수시 개최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다. 고위 당·정·청 회의는 여당에서 대표와 원내대표 등 수뇌부, 정부 측에서 국무총리와 주요 부처 장관, 청와대에서는 비서실장 등 여권의 핵심인사들이 참석해 정책현안을 논의하는 협의체다.

    김 대표는 "지난 2년 동안 고위 당·정·청 회의가 두 차례밖에 열리지 않았다. 앞으로 당이 주도해서 고위 당·정·청 회의를 수시로 열어 국정 현안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풀어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당초 박근혜정부 출범 첫해인 2013년 상반기 당시 황우여 대표 역시 첫 고위 당·정·청 회의를 개최한 뒤, '매년 2회 정례화'를 선언했었다. 그러나 이대로 지켜지지 못했다.

    {RELNEWS:right}김 대표 역시 지난 10월 공무원연금 개혁 관련 회의를 거친 뒤 고위 당·정·청 회의의 정례화를 추진했었다. 그러나 공무원연금 관련 회의 이후 지금까지 추가적인 고위 당·정·청 회의는 열리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대표가 청와대를 향해 소통을 재차 압박하고 나선 데에는 '유승민 원내대표 체제 수립'이 적잖은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유 원내대표는 경선 과정에서 "매일이라도 청와대와 소통하겠다"고 강조해온 상황이어서, 청와대를 향한 여당 내 '투톱'의 인식이 동일한 상태다.

    김 대표는 실제로 이날 연설에서도 "어제 저희 새누리당에 새로운 원내지도부가 출범했다. 새 원내지도부와 힘을 합쳐 정부와 정책 조율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여러 정책들이 국민의 눈높이와 어긋나는 것은 없는지, 본래 의도와 달리 서민과 중산층의 어깨를 무겁게 하는 것은 없는지 꼼꼼히 들여다보겠다"고 밝혔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