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올해 집값 1.8%, 전세 2.6% 상승…가파른 오름세



부동산

    올해 집값 1.8%, 전세 2.6% 상승…가파른 오름세

    전국 평균 주택매매가격 2억 3,617만원

    부동산 자료사진

     

    정부의 기준 금리 인하와 부동산 경기 활성화 정책이 맞물리면서 올해 상반기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하반기에는 매매시장이 다소 안정세를 보이겠지만 전세시장은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감정원이 30일 발표한 '6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 자료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지난달 보다 0.38%, 전세가격은 0.4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말에 비해선 매매가격은 1.80%, 전세가격은 2.62% 상승했다.

    ◇ 올들어 주택 매매가격 상승폭 확대

    올 들어 주택 매매시장은 정부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효과와 전세가격 상승으로 인한 매매전환 등이 맞물리면서 상승폭이 확대되는 추세다.

    지난 1월 주택 매매가격은 전달에 비해 0.14%, 2월은 0.20%, 3월은 0.30%, 4월은 0.43%로 매달 크게 상승했다.

    다만, 5월에는 이사철이 끝나고 계절적인 비수기에 접어들면서 0.34%로 상승폭이 줄어든데 이어 6월에는 메르스 사태 등이 겹치면서 0.38% 오르는데 그쳤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에만 전국 집값이 평균 1.8% 올랐다.

    6월 들어 지역별 매매가격은 대구가 0.91%로 가장 많이 올랐고 광주 0.71%, 서울 0.50%, 경기 0.48%, 제주 0.45%, 부산 0.39% 등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전국의 평균 주택매매 가격은 2억 3,617만원으로 서울이 4억 5,056만원, 수도권 3억 2,352만원, 지방 1억 5,587만원 등이었다.

    3.3㎡당 매매가격은 전국 평균 867만원으로 서울이 1,737만원에 달했다.

    ◇ 전세가격, 매물 부족에 따른 상승세 이어져

    올 들어 전세시장은 저금리 기조에 따라 집주인의 월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세공급 물량이 줄어들어 가격 상승세가 이어졌다.

    지난 1월 전세가격은 전달에 비해 0.27% 상승한데 이어, 2월에는 0.33%, 3월 0.46%, 4월 0.59%, 5월 0.44%, 6월 0.4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전국에 전세가격은 2.62%나 오르며 매매가격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6월 들어 지역별 전세가격은 대구가 0.83%, 광주 0.81%, 경기 0.74%, 서울 0.70%, 제주 0.34%, 부산 0.30% 등의 상승률을 보였다.

    {RELNEWS:right}전국의 평균 전세가격은 1억 4,719만원으로 서울이 2억 6,609만원, 수도권 1억 9,836만원, 지방 9,956만원 등이었다.

    3.3㎡당 전세가격은 전국 평균 572만원으로, 서울이 1,059만원, 수도권 791만원, 지방 368만원 등이다.

    이에 따라, 6월말 기준 전국의 주택 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63.7%로 지난 5월에 비해 0.1%p 상승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매매시장은 금리 인하에 따라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입주 물량이 많아 전체적인 매매가격은 상반기 보다 다소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또 "전세시장은 월세전환 임대물량이 늘어나 수급 불균형이 계속돼 전세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고 덧붙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