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소자나 간단한 전자제품을 금속 등 다양한 복합소재를 이용해 3D 프린터로 간편하게 인쇄할 수 있는 날이 앞당겨질 전망이다.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은 4일 "반지와 같은 장신구를 만들 때 사용되던 전기도금법의 원리를 이용해 3D 프린팅 분야의 향후 핵심소재인 금속을 쉽게 프린팅할 수 있는 '금속 3D 프린팅 기술'을 세계 최초 개발했다"고 밝혔다.
KERI 설승권 박사팀(나노융합기술연구센터)이 개발한 이 기술은 전기도금법을 기반으로 다양한 모양의 3차원(3D) 금속 구조체를 머리카락 보다 훨씬 가는 크기인, 수 마이크로미터급으로 프린팅하는 기술이다.
금속소재를 녹여 프린팅하던 방식에 의존하던 금속 3D 프린팅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재료분야 학술지인 스몰지(Small)의 온라인판에 이어 8월 26일 자 표지논문(Back cover)으로도 게재(논문명 : Electrodeposition-based 3D Printing of Metallic Microarchitectures with Controlled Internal Structures)됐다.
관련 특허는 지난 7월 30일 미국 애틀란타에서 개최된 '2015 한미 한인과학기술산업 학술대회(UKC 2015)'의 IP 경진대회에서 금상을 수상하는 등 국내외 연구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KERI 설승권 박사는 "이번 기술개발은 전기도금법이라는 우리에게 친숙하면서 저렴하고 간단한 방법을 3D프린팅에 적용해 다양한 형상의 3차원 금속 구조체를 제작한 세계 최초의 성과이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개발한 마이크로미터의 해상도를 갖는 금속 3D프린팅 기술은 산업 현장에서 적용되는 인쇄된 3D 전기전자부품이나 설비 등의 제작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면서 "이를 통해 사물에 디지털기능을 인쇄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바이오센서 산업의 활성화 및 금속 3D 프린팅 기술 분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KERI는 현재 해당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으며 관련업체와의 기술이전을 통해 빠른 시일 내 '전기도금법 기반 금속 3D 프린터'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성과는 정부(미래부) 출연금 사업을 통해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