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친절한 '답사기'…한반도 젖줄서 길어 올린 특별한 사연



책/학술

    친절한 '답사기'…한반도 젖줄서 길어 올린 특별한 사연

    [신간]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권 남한강편'…자연·역사·인문 어우러진 여정

    청명한 가을 하늘을 배경으로 자전거를 타고 한강변을 달리는 시민들(자료사진/노컷뉴스)

     

    '사람들은 누구든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에 흐르는 강에서 각별히 깊은 서정을 발하게 된다. 서울에 살면서 조석으로 한강을 건너다니다 보니 언젠가 한번은 저 강의 상류로 올라가 강물을 따라 내려오는 긴 답사 여정에 오르고 싶었다. 그것은 곧 한강의 역사, 한강의 고고학, 한강의 문화사가 될 것이기에 은근한 호기심이 절로 일어났는데, 이제 나는 비로소 그 길을 떠난다.'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권 남한강편' 중에서

    유홍준 교수의 국내 문화유산답사기가 다시 시작됐다. 신간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권 남한강편'(지은이 유홍준·펴낸곳 창비)은 말 그대로 남한강을 따라가는 여정이다. 이번 책의 답사 코스는 영월에서 시작해 단양·제천·충주·원주·여주로 이어진다. "이 코스를 다 도는 데는 4박 5일이면 충분하다"는 것이 지은이의 설명이다.

    남한강은 태백산에서 발원해 강원도, 충청북도, 경기도, 서울을 가로질러 서해로 흘러드는 한강의 본류다.

    '한강은 태백산에서 발원한 남한강과 금강산에서 발원한 북한강이 양수리에서 만나 도도한 강줄기를 이루며 서울을 가로질러 서해로 흘러드는 한반도의 젖줄이다. 그 중 한강의 본류는 남한강인데, 태백산 검룡소에서 발원하여 서해에 이르는 물길은 약 500킬로미터에 이른다.' (16쪽)

    남한강은 유유히 흐르면서 곳곳에 유서 깊은 흔적들을 담아낸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자연과 역사, 인문이 어우러지는 유홍준표 답사 현장으로 적격인 셈이다. 영월 법흥사에 이르는 길을 잠시 살펴보자.

    '모든 명찰이 그러하듯이 법흥사 또한 산중의 넓은 분지에 자리잡고 있다. 동서남북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우리가 골 따라 그 틈새를 파고들어온 셈인지라 산세는 더욱 웅장하게 느껴지기만 한다. 법흥천 물길 따라 산세를 비집고 들어올 때만 해도 깊은 산속에 이처럼 넓은 터가 있으리라 기대하지 못했기 때문인지 법흥사에 당도하면 답사객들은 높은 산봉우리 사이로 열린 하늘을 한번 더 우러러보게 된다.' (42쪽)

    ◇ "남한강은 단순한 강물이 아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권 남한강편ㅣ유홍준ㅣ창비

     

    단양·제천·충주는 이번 남한강 답사의 중심이라 할 만하다. 예로부터 이들 지역은 명승지로 이름이 높았던 만큼 조선시대 수많은 시인묵객들의 자취로 가득하기 때문이다. 지은이가 단양 8경을 소개하면서 "단양의 명성은 변함없이 이어질 것"이라고 단언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어 보인다.

    '명성만 듣고 잔뜩 기대에 부풀어 찾아온 분은 실망하기 일쑤다. (중략) 생각건대 지금도 단양8경을 여행한 다음 이렇게 말할 사람이 없지 않을 것도 같다. 그러나 이는 올바른 평이 아니다. 단양8경의 아름다움이란 산의 높이와 크기에 있는 것이 아니다. 관동8경은 동해안의 아름다운 정자만을 주로 꼽은 것이듯 단양8경은 강변의 수려한 봉우리와 계곡의 빼어난 바위에만 한정했음이 뚜렷하다.' (143, 144쪽)

    그 유명한 단양8경을 짚어보는데 그냥 넘어가기 아쉽다. 8경 중 사인암에 대한 설명만이라도 살짝 들어보자.

    '깍아지른 암벽이 하늘에서 내려뜨린 병풍처럼 서 있고 그 아래로는 계곡의 맑은 물이 넓게 퍼져 흐른다. 높이 솟은 바위벽은 화강암의 절리가 발달하여 가로세로로 금이 가서 마치 큰 붓으로 죽죽 그은 산수화의 준법을 입체화시킨 듯하다. 빛깔도 암벽 군데군데에 철분이 녹아내려 황토색과 밝은 노란색이 교차되고 그 틈새에 끼어 자라는 소나무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