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美 민간연구소, "北 붕괴시 미군 15만명 추가 파병 필요"



통일/북한

    美 민간연구소, "北 붕괴시 미군 15만명 추가 파병 필요"

    "핵무기 등 북한의 대량살상무기를 찾아내 장악한 뒤 안전 확보"

     

    미국의 민간 연구소가 북한 정권이 갑자기 붕괴하면 핵무기 등 북한의 대량살상무기를 제거하기 위해 미군 15만 명 추가 파병이 필요하다고 추산했다.

    미국의 소리 방송에 따르면 미국의 민간단체인 ‘랜드연구소’는 ‘후회 최소화하기: 우리에게 필요한 미군 만들기’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북한 정권이 전쟁이나 경제 실패의 결과로 갑자기 붕괴할 수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는 "북한 정권이 붕괴할 경우, 핵무기 등 북한의 대량살상무기를 찾아내 장악한 뒤 안전을 확보하고 이를 제거하는 것이 미국의 가장 큰 우려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군의 경우, 서울을 위협하는 북한 포격기지들을 제거하고, 장악 지역에 대한 정치적 통제를 확립하며, 인도적 재난 등을 해결하는데 집중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때문에 "북한의 대량살상무기를 제거하는 큰 부담은 결국 미군이 지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또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의 이동, 특히 해외로 밀반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미국 공군과 해군, 지상군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북한 붕괴 이후 중국의 움직임과 관련해 "중국군이 북한을 탈출하려는 난민을 통제하기 위해 북한에 진입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군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기지들을 통제할 수 있을 만큼 깊숙이 들어오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보고서는 "한국군이 미국 지상군과 공군력의 지원으로 북한군보다 전력 우위에 있기 때문에 북한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침략할 가능성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남북간 충돌이 격화되면 서울에 대한 무차별 포격으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미국과 한국의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공격이 북한의 포격 속도를 늦출 수는 있겠지만, 미국과 한국의 지상군이 지하 요새 등에 은닉된 북한의 포격 기지를 장악하기 전까지 모든 포격 위협을 확실히 제거했다고 장담하긴 어렵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북한의 포격기지를 장악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미군과 한국군이 참가하는 총공세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랜드연구소는 이 보고서를 미국 군사전략을 세우는 대통령 직속기관 미래군사위원회에 지난달 제출했다.

    이 자리에서 보고서를 작성한 랜드연구소의 티모시 본즈 부회장은 "북한의 위협이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계속되는 도발 끝에 휴전선 일대에 배치된 8천문의 대포와 다연장 로켓 등을 통해 서울에 대한 대규모 포격을 감행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본즈 부회장은 또 "북한 정권이 갑자기 붕괴된 후 핵무기와 생물무기, 화학무기 물질이 외부로 밀반출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