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인구 3%, 이에 따른 국회의원 수도 3%에 불과한 강원도.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 취업 상황에 젊은이는 외지로 떠나고 인구는 갈수록 고령화하고 있다. 가뜩이나 열악한 경제시장 여건 속에 자치단체가 주도하는 기업유치활동의 한계를 드러내는 대목이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강원CBS는 올해 개국 20주년을 맞아 협동과 연대의 원리로 움직이는 협동조합이 강원도가 처한 운명을 바꾸는 대안이 될 수 있을 지, 그 가능성과 과제, 대안을 모색하는 기획보도를 마련했다.[편집자 주]글 싣는 순서 |
①협동조합에 길을 묻다 ②협동조합, 강원도 취업 지도를 바꾸다 ③농촌을 살리는 협동조합 ④협동조합, 아직은 실험 중 ⑤강원도, 그래도 협동조합이다 |
지난 5월 원주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가 마련한 원주권 협동조합 활동가 워크숍. <자본주의를 넘어="">의 저자 다다 마헤슈와라난다를 초청해 대안 경제와 협동조합의 역할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사진제공=원주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자본주의를>
우리나라는 2012년 UN이 정한 세계협동조합의 해를 1년 앞둔 2011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을 제정하고 2012년 12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이전에는 특별법이 인정하는 농협, 축협, 수협, 임협, 신협 등 협동조합을 제외하고 사실상 자유로운 협동조합활동이 규제돼 왔다.
UN이 세계 각국에 협동조합 설립을 지원하는 정책을 권장하기 시작한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는 과정에서도 협동조합과 협동조합이 운영하는 회사들은 오히려 제3의 경제주체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라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강원도 안에서도 협동조합 설립이 붐을 이루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2015년 9월 말 현재 도내 협동조합은 394개에 이른다.
강원도에서도 협동조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것은 기존 창업, 취업 시장의 한계를 직면한 지역주민 스스로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난 현상이라는 평가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강원도가 41.9%로 제주에 이어 두번째로 높았다.
인구 연령이 60세 이상이 많고 종사하는 업종 역시 주로 농업과 어업 분야의 1일 근로자 비율이 많다는게 원인으로 꼽혔다.
강원도와 18개 도내 시군이 추진하는 기존 기업 유치, 성장 활동의 한계로도 볼 수 있다.
이강익 강원도 사회적경제지원센터 팀장은 "고용없는 성장 시대가 고착화되는 과정에서 대기업은 일자리를 늘리지 못하고 행정에서는 대안을 찾지 못하다보니 주민 스스로 자기 문제 해결을 위해 협동조합에 관심을 갖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전했다.
실제 2013년 강원도 ICT(정보통신기술) 업체들은 대기업이 독점하는 시장에서 경쟁력과 활로를 찾기 위해 강원ICT융합사업협동조합을 만든 것을 대표 사례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유지대 강원ICT융합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이 강원CBS와의 인터뷰에서 협동조합 설립 배경과 앞으로의 구상을 전하고 있다. (사진=강원CBS 박정민 기자)
유지대 강원ICT융합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수도권 대기업에게 일감을 빼앗기고 인재들도 유출되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업체들이 고민을 하다 협동조합 설립을 결정하게 됐다"며 "서로의 장점을 융합해 사업을 개발하다보니 대기업과의 경쟁에서도 결코 밀리지 않는 경쟁력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특히 협동조합 방식을 채택하다보니 자본이 앞서는 특정 업체가 기득권을 독식하지 않고 수평적으로 연대할 수 있는 견제 장치이자 장점도 갖게 됐다"고 덧붙였다.
협동조합은 협동조합간 연대를 통한 더 큰 도약에도 적극적이다. 지난 14일 강원ICT융합사업협동조합과 제주스마트융합사업자협동조합은 지역을 넘어 파급효과 극대화를 위해 손을 잡았다.
힘을 합쳐 ICT시장 참여 기회 확대와 공동사업 모델 발굴, 강원도와 제주의 특성을 살린 관광 활성화를 위한 ICT융합서비스 공동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소프트웨어가 강한 강원도 기업들의 장점과 하드웨어가 탄탄한 제주도 업체들이 협력해 평창동계올림픽과 제주 복합리조트 사업에서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을 만들어나가겠다는 구상이다.
2015년 원주 청소년축제에 참가한 원주고 협동조합동아리 '소쿱(coop)놀이' 조합원들이 무료로 책을 나눠주고 책 가치만큼 기부를 받는 활동을 벌이고 있다. 수익금은 올 겨울 불우이웃을 위한 연탄기부에 사용할 예정이다.(사진제공=원주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
{RELNEWS:right}그러나 목적없이 뛰어드는 협동조합 설립에는 경고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선기 원주협동경제사회네트워크 사무국장은 "협동조합 기본법은 단지 협동조합이라는 법인체를 만드는 근거법에 지나지 않는다"며 "협동조합의 정신처럼 나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겠다는 사람들이 모이고, 그 사업이 잘 되도록 노력하는 기본 정신이 바탕이 돼야 그 협동조합이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