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마술과 사극의 콜라보…유승호·고아라 카드 통할까



영화

    마술과 사극의 콜라보…유승호·고아라 카드 통할까

    11일 오전 서울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점에서 열린 영화 '조선마술사' 제작발표회에서 배우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승호, 고아라, 조윤희, 이경영, 곽도원. (사진=박종민 기자)

     

    마술과 멜로 그리고 사극은 어떤 조합을 이루게 될까. 영화 '조선마술사'가 제작보고회에서 그 베일을 벗었다.

    배우 유승호와 고아라, 두 젊은 남녀는 이번 영화에서 각기 마술사 환희와 공주 청명 역을 맡아 애절한 사랑을 그린다. 유승호에게는 제대 후 첫 작품이고 고아라는 약 2년 만의 스크린 주연 복귀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유승호는 "지금도 땀이 많이 나는데 원래 이런 현장은 늘 긴장이 된다. 영화에서 주인공을 맡아 정말 부담이 되는 건 사실이다.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은 다했다고 생각한다. 감독님, (고)아라 누나, 다른 선배님들이 정말 많이 도와줬다. 저희가 진짜 열심히 했고, 좋은 작품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한다"고 솔직한 심정을 털어 놓았다.

    가장 많이 호흡을 맞춘 고아라와는 편한 오누이같은 사이가 됐다.

    그는 "처음 봤을 때는 어색하고, 잘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지내다보니 그냥 예전부터 봐왔던 누나 같았다. 제가 말을 많이 하기도 했다. '고아라'라는 배우의 에너지가 현장에 항상 존재하고 있었다. 덕붕네 작품을 편하게 찍을 수 있었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고아라에게도 유승호는 든든한 동생이었다. 다소 어색한 사극 멜로 연기에 가장 많은 조언을 준 사람은 메가폰을 잡은 김대승 감독이었다.

    고아라는 "개인적으로 사극 멜로가 어려웠는데 감독님이 본인의 사랑 이야기를 정말 많이 해주셔서 도움이 많이 됐다"면서 "유승호 씨는 정말 듬직했다. 저나 승호 씨나 어렸을 때부터 작품을 해 온 공통점이 있었다. 현장에 있을 때 항상 배려해줘서 더 편안하고 유연하게 연기할 수 있었다"고 화답했다.

    털털하고 명랑한 성격의 고아라지만 공주인 청명 역에 몰입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청명과 자신의 감정에 비슷한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고아라는 "시골 자연 속에서 밝고 명랑하게 살다가 서울에 올라오게 되면서 자신을 옥죄는 상황들로 인해 힘들어하는 모습이 있다. 궁에서는 불편하게 예절을 지켜야 되는데 환희를 만나면 제 감성처럼 지낼 수 있었다"면서 "그런 압박감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 부담스럽긴 했다. 그런데 저도 나름대로 슬픔이 있고, 아픔이 있는 사람이라 청명에 대해 공감하는 부분이 많았다. 그런 진실이 전달됐으면 한다"고 이야기했다.

    고아라가 공주 역할 소화를 위해 궁중예절, 서예, 승마 등을 배웠다면 유승호와 청나라 마술사 귀몰 역을 맡은 배우 곽도원은 마술에 전념해야 했다. 유승호는 두 달 동안 마술 연습에 매진했고, 곽도원은 마술뿐 아니라 중국어까지 배웠다. 김 감독의 증언에 의하면 CG처럼 보이는 장면들 중 실제 유승호가 직접 한 마술이 대부분이다.

    유승호는 "현대적인 마술을 몇 개 쓰기도 했지만 당시에는 장치를 이용한 마술들이었기 때문에 두 달 전부터 연습을 했다. 현장에서도 도움을 많이 받았다"며 "마술은 손에 익으니까 할 수 있겠는데 그 특유의 제스처나 풍기는 분위기가 어렵더라. 몇 달 연습해서는 그런 여유로움이 나올 수 없었다. 그래도 새로운 마술사를 만들어보자고 생각했다"고 털어놓았다.

    곽도원은 "일상에서 마술사 분들은 계속 손 동작을 연습하는 게 있다. 그걸 계속해야 하는 게 힘들어서 저는 CG 도움을 많이 받았다. 다만 저는 중국어가 힘들었다. 일반적으로 대본을 보면 대사에 중국어와 한국어 부분이 나눠져 있다. 전부 한국어로 쓰여 있어서 그런가보다 했는데 알고보니 그 부분을 전부 중국어로 해야 하더라. 특히 성조 때문에 죽는 줄 알았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영화의 또 다른 볼거리는 바로 '물랑루'다. 마술과 사랑, 복수가 펼쳐지는 이 핵심적인 공간은 한국과 중국 그리고 서양의 양식까지 혼합해 지어졌다.

    김 감독은 "'물랑루'는 어떤 의미에서 보면 하나의 캐릭터다. 복합적이고 중요한 감정을 모두 담고 있는 공간이다. '물랑루'라는 이름은 김탁환 작가님이 '물랑루즈'에 빗대어 가져왔는데 없을 '물'에 밝을 '랑'을 뜻한다. 결국 밝음이 없는 어두운 공간에서 사랑도 복수도 시작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