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통일/북한

    개성공단 철수작전, 8.14 합의가 복병

    '정세의 영향 받지않고 공단의 정상운영 보장' 위반 논란으로 변질 가능성

     

    정부가 10일 개성공단 전면중단 조치를 발표했지만 실제 이행 과정에선 ‘남북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8.14합의)’가 걸림돌로 작용하며 남북관계의 잠재적 뇌관이 될 전망이다.

    8.14합의는 지난 2013년 5월부터 시작된 개성공단 1차 가동 중단 사태를 풀기 위해 7차례의 남북 실무회담 끝에 같은 해 8월 어렵게 도출된 것이다.

    남북은 당시 “어떠한 경우에도 정세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남측 인원의 안정적 통행, 북측 근로자의 정상 출근, 기업재산의 보호 등 공단의 정상적 운영을 보장한다”고 합의했다.

    합의문대로라면 북한은 이번 개성공단 중단 조치를 남측의 일방적 합의 위반으로 규정하고 책임을 따지려 들 수 있다.

    정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그때 정세가 무엇이라고 규정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중요한 것은 북한의 최근 계속된 도발과 위협적 정세로 인해 개성공단을 정상 운영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8.14합의 위반을 논하기에는 현 정세가 너무 엄중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설 연휴 기간 동안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공론화에 이어 개성공단 카드를 거의 동시에 빼들며 초강경 입체 압박에 나섰다.

    북측 움직임을 보면서 순차적으로 대응 수위를 높여갈 것이란 예상을 깨고 가용한 실탄을 일시에 쏟아부으며 선수를 친 셈이다.

    이는 배수진을 치듯 우리 스스로 결연한 의지를 내보임으로써 중국 등을 우회적으로 압박하고, 유엔 안보리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고강도 대북제재를 이끌어내려는 복안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남북교류의 마지막 보루인 개성공단 폐쇄까지 염두에 둔 초강수에도 북한이 별 반응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다.

    정부는 지난해 8월 북한을 무릎 꿇게 한 대북 확성기 ‘신화’를 다시 기대하는 눈치지만 이번에는 여의치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오히려 북한이 8.14합의를 근거로 남측에 책임을 돌리고 그에 상응한 행동에 나설 경우 남북관계는 회복불능의 파국으로 치달을 수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 교수는 “북한은 모든 책임은 남측이 져야 한다고 할 것이고, 더 나아가 개성공단 100만평에 대한 원상복구와 배상을 요구할 수 있다”며 “이것이 관철될 때까지 완제품과 원자재, 기계부품 등의 반출을 불허하면서 강경하게 대응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우리 기업의 개성공단 철수 과정에서 북측과의 마찰과 그에 따른 예상치 못한 충돌도 배제할 수 없다.

    북한 핵·미사일에 대한 응징 차원에서 이뤄진 조치가 그 자체의 합의 위반 논란으로 성격이 변질, 축소될 수 있는 것이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개성공단 중단의 책임은 남측에 있다며 대내외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완충지대를 완전히 상실했다는 점에서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찾기는 상당 기간 어려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