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다음해 한국 경제 성장률에 관해 3%대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최근 세계경제 동향에 대한 보고서'에서 한국 경제 성장률을 올해 2.7%, 다음해 3.0%로 전망했다.
특히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4월 발표와 변동 없지만 다음해 전망치는 0.1%p 상승했다.
이번 보고서는 IMF가 '세계 경제 보고서'를 통해 발표하는 공식 전망치가 아니라,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를 위해 작성한 것이다.
다만 별다른 하방위험이 없다면 4월과 10월 공식 발표하는 세계 경제 보고서에 이번 수치를 그대로 반영된다.
특히 브렉시트 변수 속에 대부분 주요 국가의 성장률 전망치가 내려간 것과 달리 유독 한국의 성장률 전망을 상향 조정한 점이 눈여겨볼만 하다.
IMF는 미국의 성장률 전망을 올해 2.2%, 다음해 2.5%로 제시했다.
다음해 수치는 지난 4월 전망치 대비 변동이 없었지만, 달러 강세와 글로벌 수요 약화, 외국인 투자 감소 등의 요인으로 올해 수치는 0.2%p 내려갔다.
영국은 브렉시트에 따른 내수 부진과 불확실성 심화에 따라 올해와 다음해 각각 1.7%, 1.3%로 각각 0.2%p, 0.9%p씩 하향 조정됐다.
일본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0.2%p 내려간 0.3%이지만, 다음해 성장률은 0.2%p 오른 0.1%로 예상됐다.
중국은 올해엔 0.1%p 오른 6.6%, 다음해에는 이전 예측대로 6.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EU는 올해 1.9%로 지난 4월 전망치보다 0.1%p 상향조정됐지만 다음해에는 1.6%로 3개월 전보다 0.3%p 낮아졌다.
이 외에도 IMF는 선진국은 올해와 다음해 모두 1.8% 성장할 것으로 예상해 전망치를 각각 0.1%p, 0.2%p 낮춰잡았다.
반면 신흥국은 올해와 내년 각각 4.1%, 4.6% 성장해 3개월 전 전망치와 같았다.
이처럼 IMF가 주요 국가들의 경제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본 이유로 잠재 성장률 저하, 불평등 확산, 대외 불균형 확대 등을 꼽았다.
특히 금융위기 전후로 부채가 늘어나고 만성적인 투자 부진, 노동생산성 저하로 잠재 성장률이 떨어지면서 세계 경제 회복의 걸림돌이 생겼다고 밝혔다.
아울러 소득 분배의 불평등도가 커지면서 단기적으론 글로벌 수요가 위축되고 장기적으론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정치 세력에 대한 지지도를 떨어뜨려 구조개혁이 지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지난해 미국은 대외 부문 적자가 확대되고 일본과 EU의 흑자는 확대된 점을 거론, 브렉시트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대외불균형을 조정하지 않으면 채권·채무국의 불균형이 심화해 세계경제의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