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열에 저항하는 젊은 연극인들의 페스티벌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가 대학로 연우소극장에서 진행 중입니다. 6월부터 시작해 5개월간 매주 1편씩, 총 20편의 연극이 무대에 오릅니다. CBS노컷뉴스는 연극을 관람한 시민들의 리뷰를 통해, 좁게는 정부의 연극 '검열'부터, 넓게는 우리 사회에 알게 모르게 뿌리박힌 모든 '검열'의 위험성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리뷰 순서="">
1. 우리 시대의 연극 저널리즘 / '검열언어의 정치학 : 두 개의 국민'
2. 포르노 시대 한가운데에 선 나를 보다 / '그러므로 포르노 2016'
3. 그들이 ‘안티고네’를 선택한 이유 / '안티고네 2016'
4. 주장이 구호가 안 되게 서사의 깊이 보장해야 / '해야 된다'
5. 2016년 우리는 <김일성 만세="">를 볼 수 있는가 / '자유가우리를의심케하리라'
6. 불신, 이래도 안 하실 겁니까? / '불신의 힘'
7. 그는 검열하는 자신이 옳다고 생각했겠지 / '15분'
8. 우리에게 희망은 있는 것일까? / '광장의 왕'
9. 정수라의 ‘아! 대한민국’과 정태춘의 ‘아, 대한민국’ / '이반 검열'
10. “내 정보는 이미 팔렸다. 내가 태어나기도 전에” / '삐끼ing', '금지된 장난'
11. ‘안정’이라는 질병에 대한 처방전 / '흔들리기'
12. '우리' 안에 갇힌 '우리' … 개·돼지 같구나 / '검은 열차'(계속)
연극 '검은 열차' (제공 사진)
연극을 보기 전 줄거리와 연출의도를 검색해 보았다. 검열, 일상에서의 자기검열이 작동하게 되는 요인들을 살펴 검역의 맥락에 대응할 수 있는 동력을 발견하는 것이 연출의도라고 하였다.
연극이 시작되고 열차로 꾸며진 무대에는 두 명의 젊은이가 탑승한다. 취업 면접을 위해 서울로 가기 위함이다. 열차 안에서는 이상한 일들이 벌어진다. 차장은 다른 승객의 커피값을 내주지 않는다고 옆자리 승객을 다그치고 주변 승객들은 따가운 눈총을 보낸다. 커피값을 내주지 않고는 견딜 수 없다. 그 일로 두 젊은이는 서로 이야기를 나누게 된다.
지방대 출신의 취업준비생 상근은 오직 취업해서 안정된 생활을 하는 것이 목표이다. 명문대 졸업생 지열은 취업할 생각도 없이 부모에 의존해 살고 있다. 지열은 정해진 틀에 맞춰 살고자 하는 상근에게 찌질하다고 비아냥거린다. 자기는 그렇게 살지 않을 것이며 찌질하게 사는 사람과는 가까이 하지고 않는다고 하며 모멸감을 준다. 이에 상근은 그래봐야 커피값도 기차표도 없는 신세라며 맞장구친다.
연극 '검은 열차' (제공 사진)
그렇게 두 사람은 서로를 공격하며 스스로 상처입는다. 그러는 동안 열차 안에서는 ‘거기’라고 지목되는 곳을 지나며 승객과 승무원이 공격당하기도 하고 피 묻은 손들이 창문을 두드리는 등 괴기한 일들이 벌어진다.
아마도 최근 벌어지는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사건들을 묘사하는 듯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 앞에서는 서로 상반된 가치관을 가진 두 사람은 비슷한 반응을 보인다. 상근은 사회에서 벌어지는 괴기한 사건들이 몹시 두려워 애써 못 본 척 외면한다. 지열은 그 모든 것에 초연하듯 하나 두렵긴 마찬가지다.
두 사람은 그러한 자신을 부끄러워한다. 사회가 요구하는 관습과 규칙에 맞춰 사는 상근도 그에 저항하며 자기만의 삶을 추구하는 지열도 자신들의 모습에 좌절한다. 그 두 사람 모두 찌질한 모습을 감출 수 없다. 두려움에 떨며 승무원이 쏟아놓고 간 ‘뻥이요‘를 연신 주워 먹는다. 아마도 그 모습은 삶을 연명해 가는 우리의 모습을 표현한 것처럼 보인다. 개, 돼지 같은 우리의 모습 말이다.
의무를 강제 당하는 사회, 보장되는 권리마저도 어떤 선을 넘지 않는 선에서만 자유로운 사회, 연출자가 의도한 검열은 이러한 사회의 모순에 맞춰야 한다는 강박에 따른 검열인가보다.
연극 '검은 열차' (제공 사진)
"두려운가? 그럼 엎드려 머리를 박고 숨어라!""안정된 삶을 원하는가? 그럼 보고도 못 본척 하라!""힘을 얻고 싶은가? 그럼 시키는 대로 하라!"사람들은 이런 정치 권력자들에 의해 정해진 틀을 검열해 스스로 거기에 맞춰 살아간다. 저항하는 자들조차 그 틀을 벗어나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우리는 또 좌절하고 포기한다.
최근 당연시 받아들여졌던 사회 문제들이 더 이상 당연하게 받아들여 지지 않고 있다. 연출가는 국가, 자본 검열과 함께 ‘나’는 어떻게 살고 있는지, 어떻게 살고 싶은지, 자신을 검열해보기를 권하는 듯하다. 자기검열, 이 부분에서 좀 아쉬움이 있다.
한은순 / 주부 {RELNEWS:right}김일성>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