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검열 시대를 사는 바보같은 청춘들에 대한 이야기

공연/전시

    검열 시대를 사는 바보같은 청춘들에 대한 이야기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 인터뷰 17] 몽씨어터, 이동선 연출

    예술계 검열 논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그래도 전에는 논란이 생기면 검열이 잦아들곤 했는데, 현 정부에서는 더욱 당당하게 자행됩니다. 분노한 젊은 연극인들이 반기를 들었습니다. 검열에 저항하는 연극제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를 5개월간 진행하겠답니다. 21명의 젊은 연출가들이 총 20편의 연극을 각각 무대에 올립니다. 위축되지 않고, 당당하게 작품으로 자기들의 목소리를 내려는 연극인들의 이야기를 CBS노컷뉴스가 시리즈로 보도합니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검열이 연극계 판을 분열시키고 있다”
    2. “비논리적인 그들의 검열 언어, 꼬집어줄 것”
    3. “포르노 세상에서 검열이란”
    4 “검열, 창작자만이 아닌 우리 모두의 문제”
    5. “검열을 '해야 된다'는 그들…왜 그럴까”
    6. “의심하고, 의심하고, 또 의심하라”
    7. “'불신의 힘', 검열 사태 이후 나에게 하는 살풀이”
    8. “갈수록 검열은 교묘해지고, 그들은 뻔뻔해지네”
    9. “그들은 우리 기억에서 '세월호'를 지우려 했다”
    10. “국가는 '이반 검열'에 어떻게 개입했을까”
    11. ‘대학로 삐끼’를 통해 느끼는 검열 현실
    12. '귀 밑 3cm 두발 자유'는 정말 '자유'였을까?
    13. 만약 '검열'이 내게 닥친 일이었다면, 내 선택은?
    14. “태어나면서부터 내재된 자기검열의 벽…균열 가해야”
    15. '극장은 술집, 관객은 손님, 배경음악은 금지곡'
    16. “미래 사람들은 말하겠지, '2015년에 검열이 있었대' 하고”
    17. “검열 시대를 사는 바보같은 청춘들에 대한 이야기”
    (계속)

    몽씨어터, 이동선 연출.(사진=유연석 기자/노컷뉴스)

     

    추석 연휴에도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는 멈추지 않는다. 연휴 기간 무대에 오르는 공연은 몽씨어터 이동선 연출(47)의 '바보들의 행진'이다.

    1975년 개봉된 하길종 감독의 영화 '바보들의 행진'이 모티브이다. 검열과 억압이 만연했던 70년대에 대학생들의 정신과 좌절을 그 누구보다 잘 포착해낸 영화이다.

    이를 모티브로 작성된 강유 작가(웹툰작가 겸 영화감독)의 미발표 시나리오를 이동선 연출이 라디오 드라마 형식으로 각색했다.

    검열 시대에 검열 당하는 감독과 검열하려는 자의 이야기를 유쾌하게 그렸다. 이 연출은 명절 기간인 만큼, 무겁게 접하기보다 관객들이 공연을 보고 즐거워했으면 한다고 바랐다.

    웃음 뒤에 메시지는 분명하다.

    "하길종 감독은 (검열 시대에 좌절하는) 젊은이들을 지켜보면서 참고 기다리면 너희들의 때가 온다고 이야기하는 것 같다. 그런 청춘들을 바보로 상징하고, 바보처럼 보이지만 발맞춰 행진하고 있다는 낙관론이 있다. 공연이 그런 젊음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공연은 오는 15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종로구 연우소극장에서 진행된다. 1만 원.

    다음은 이동선 연출과 1문 1답.

     

    ▶ ‘몽씨어터’를 소개해 달라.
    = 몽씨어터는 프로젝트 팀이다. 단원은 없다. 이끌 능력이 안 돼서. 극단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최소화했다. 단원 이끌며 하기 힘든 것도 있고, 요즘 그렇게들 많이 한다.

    ▶ 공연 명이 ‘바보들의 행진’이다. 영화 '바보들의 행진'과 관련이 있나.
    = 웹툰작가 겸 영화감독인 강유 씨의 미발표 시나리오를 라디오드라마 형식으로 각색했다. 원작은 강유 감독이 1970년대 발표된 하길종 감독의 영화 ‘바보들의 행진’에서 모티브를 얻어, 검열이 심했던 70년대, 검열받는 감독과 검열하려는 남자의 이야기를 유쾌하게 그렸다.

    ▶ 라디오드라마 형식을 하게 된 이유가 있나.
    =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가 4일이라는 단기간에 공연을 하고 다음 팀에게 이어진다. 물론 매 작품 최선을 다해야겠지만 주어진 여건 자체가 완벽한 무대를 구현하기 현실적으로 어렵다. 때문에 다른 연출들도 무대, 소품, 배우를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다. 나 역시 기동력 있게 어울릴 수 있는 방법 생각하다 라디오드라마 형식이라면 재미있게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공연 시기가 추석 때다 보니 경쾌하게 공연이 올라갔으면 하는 생각도 있었다.

    ▶ 뒤늦게 참여했다고 들었다.
    = 참여 권유를 받았는데 진행 중인 작업이 있어서 참석할 수 없었다. 그러다 시간 여유가 생겨서 이번 추석 시즌에 들어갔다.

    ▶ 뒤늦게라도 참여해야겠다 한 계기가 있나.
    = 대단한 계기가 있는 건 아니다. 내가 80년대 말 학번이다. 낀 세대에 해당한다. 그리고 노래패였다. 무슨 말이냐면, 당시에는 어떤 메시지를 전달해야 프로파간다적인 작품이 많았다. 선배들에 비하면 덜했지만 실제 그런 압박도 많았고. 검열 페스티벌 이야기를 들었을 때 조금 염려가 됐다. 시도는 좋은데, 무슨 얘기를 할 수 있을까. 채 익지 않은 얘기를 할 염려도 있었다. 어쩌면 이게 자기 검열일 수도 있다. 뱉어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의미 있는데, 나는 의미가 앞서는 자리가 되지 않을까 염려했었다. 그러다 이런 공간에서 어떤 이야기를 펼치느냐는 내 몫이기에, 내 역할에만 집중하자고 생각했다.

    그리고 어떻게 참여했냐는 최초 생각보다, 참여 자체는 당연했다. 검열이라는 화두에 반대하는 사람은 없을 거다. 그리고 좋아하는 동료 연출들이 작업에 참여하고 있기에 자연스러웠다.

    몽씨어터, 이동선 연출. (사진=유연석 기자/노컷뉴스)

     

    ▶ 앞서 진행된 공연들은 어떻게 봤나.
    = 다른 연출들 작품 보면서 많이 배우고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 나이대로는 대부분 나보다 밑이다. 물론 위도 있지만, 어째든 연출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고민을 하는지, 또 검열이라는 주제를 다루는 과정을 보는 게 흥미로웠다. 나 역시 내가 가진 검열 화두에 대해 돌아보는 계기가 됐다.

    ▶ 공연을 보러올 관객들에게 전달됐으면 하는 메시지가 있다면.
    = 즐겁고 유쾌한 공연이 됐으면 좋겠다. 검열을 어떻게 바라볼 것이냐는 지점은 다른 연출가들이 다뤘으니까, 나는 그 사안보다 추석시기인 만큼 검열 시대를 살아가는 바보같은 청춘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이번 작품을 준비하며 하길종 감독의 말과 글을 리서치했는데, 감독의 화두는 항상 젊은이였다. 당시 박정희 전 대통령이 3선개헌을 통해 유신을 통과시킨 시대라 대학가는 비관적인 절망과 회피가 가득했다. 하길종 감독은 그런 젊은이들을 지켜보면서 참고 기다리면 너희들의 때가 온다고 이야기하는 것 같다. 그런 청춘들을 바보로 상징하고, 바보처럼 보이지만 발맞춰 행진하고 있다는 낙관론이 있다. 공연이 그런 젊음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사족으로 덧붙이자면, 70년대 일상이었던 검열도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한테는 추억의 일부이다. 원치 않는 MSG도 우리 몸이 되는 것처럼. 다만 누군가처럼 추억을 생각하며 그 추억을 강요할 것인가, 아니면 그 틀을 새로운 젊은 반성과 시작으로 삼을 것인가는 각자의 선택이다. 난 물론 후자이고 싶다. 이왕이면 젊은이로 죽고 싶다.

    ☞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 '바보들의 행진' 예매하러 바로 가기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