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정현 대표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폐족 위기에 내몰린 친박계가 생명연장을 위한 마지막 몸부림을 치고 있다.
당권 수성을 위해 이정현 대표가 사임한 뒤 비상대책위원회를 계파 인물로 옹립하는 '친위 쿠데타' 시나리오를 짜고 실행에 옮길 태세다. 전당대회 기능을 대체하는 당내 기구인 전국위원회를 소집해 의결을 강행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선 비대위원장 임명권을 갖고 있는 원내대표 직 접수가 출발점이다. 친박계가 '탄핵 자유투표' 당론을 채택했다는 빌미로 정진석 원내대표를 강제 퇴출한 진짜 이유다.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 이정현 "21일 사퇴"에 깔린 속셈…非朴 배제한 '親朴 전국위' 구상쿠데타 시나리오는 비대위원장 선출과 관련된 새누리당 당헌 121조에 기반을 둔다. 121조 3항은 "비상대책위원회의 위원장은 전국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당 대표 또는 당 대표 권한대행이 임명한다"고 돼 있다.
3항 중 '전국위원회'는 당규에 의해 "전당대회의 소집이 곤란한 경우 전당대회 기능의 대행한다"고 돼 있고, 소집 방식에 있어 "최고위원회의의 의결"이 필요하다고 규정돼 있다.
친박계가 "이정현 대표가 사임하더라도 최고위원들은 사퇴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배경이다. 조원진·이장우 의원 등 친박계 강경파가 장악하고 있는 최고위가 독자적인 비대위원장 후보를 추대한 뒤 전국위를 소집해 의결하겠다는 포석이 깔려 있는 셈이다.
친박계는 김태호·이인제 전 의원 등을 비대위원장 후보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이 대표가 장담한대로 '12월 21일' 사퇴 약속을 번복하지 않더라도 친박만의 전국위를 열어 비대위원장 옹립이 가능한 것이다.
옹립된 비대위원장은 당 대표의 지위와 권한을 갖게 된다. 비대위원장이 비대위원 임명권을 갖기 때문에 친박이 비대위원장이 되면 다시 당 지도부를 장악할 수 있게 된다.
◇ 16일 원내대표 경선, '당권 향배' 분수령친박계로선 이 같은 비대위원장의 임명권자가 '당 대표 권한 대행'인 원내대표이기 때문에 반드시 16일 의원총회에서 자기 계파 의원을 당선시켜야 한다. 원내대표 경선에서 얼마만큼 표 단속이 되는지에 따라 멸족이 될지 명맥을 유지할지 방향성도 나오게 된다.
친박계는 정우택·홍문종(이상 4선), 이주영(5선) 의원 등을 후보군으로 설정하고 저울질하고 있다. 정, 이 의원은 범(凡) 친박 성향인 점이 표의 확장성 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정 의원의 경우 지역적 주류가 아닌 충청권 인사인 점이, 이 의원은 원내대표 경선에서 여러 차례 고배를 마신 전력이 약점으로 지적된다.
비박계는 대항마로 정병국(5선), 나경원·주호영(4선) 의원 등을 검토하고 있다. 수도권 출신인 정 의원이 나설 경우 PK 출신인 김세연(3선) 의원이 정책위의장 러닝메이트로 거론된다.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혁신과 통합 보수 연합' 출범식에서 이인제 전 새누리당 최고위원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
◇ 친박 모임 세(勢) 줄어…쿠데타 빨간불그러나 원내대표와 비대위원장을 차례로 접수하겠다는 구상은 당내 세력 판도를 제대로 읽지 못한 패착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친박 모임 참석자가 준 점이 우려의 배경이다. 11일 대규모 만찬 회동 이후 13일 친박계 모임인 '혁신과 통합'을 공식 출범했지만, 현역의원들은 30여명이 참석하는 데 그쳐 만찬 참석자(40여명)에 비해 규모가 줄어들었다.
만찬에 참석했으나 모임에는 가지 않은 한 의원은 "2선으로 물러나라는 민심을 계속 외면하다가는 친박의 몰락을 막을 수 없다"며 "이 상황에서 당권을 접수하겠다는 계산은 벼랑 끝 전술에 불과해 보인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