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직장인에게 회의란 무엇일까. 김대리는 일주일에 평균 3.7회 회의에 참석, 51분간 자리를 지킨다. 그중 절반인 1.8회는 대체 왜 회의를 하는지, 왜 자신이 참석해야 하는지 모를 무의미한 회의다. 필요한 회의일지라도 16분간(31%)은 잡담, 스마트폰 보기 등으로 흘려보내기 일쑤다.
2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간한 '국내 기업의 회의문화 실태와 개선 해법' 보고서를 보면 국내 기업의 회의문화 민낯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국내 상장사 직장인 1천명이 스스로 평가한 회의문화는 100점 만점에 45점이었다.
부문별로 보면 회의 효율성이 38점, 소통수준 44점, 성과점수 51점으로 모두 저조했다.
'과연 필요한 회의라서 하는 것인가', '회의 시 상하소통은 잘 되는가' 물었더니 '그렇다'는 응답은 각각 31.6%, 26.4%에 그쳤다.
회의 하면 떠오르는 단어도 부정어 일색이었다.
'자유로움', '창의적' 같은 긍정적인 단어는 9.9%에 그쳤다. '상명하달', '강압적', '불필요함', '결론 없음' 등 부정어가 91.1%를 차지했다.
회의가 불필요하다고 느끼는 이유로는 '단순 업무점검 및 정보공유 목적이라서'(32.9%)란 답이 가장 많았다. '일방적 지시 위주라서'(29.3%), '목적이 불분명해서'(24.7%), '시간 낭비가 많아서'(13.1%)가 뒤를 이었다.
일단 많이 모이고 보자는 '다다익선' 문화도 문제였다. 회의 평균 참석자는 8.9명인데 불필요한 참석자는 2.8명이었다. 참석인원 3명 중 1명은 필요 없다는 뜻이다.
이른바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어. 너는 대답만 해)' 상사, '투명인간' 직원도 문제로 지적됐다.
직장인들은 상사가 발언을 독점하느냐는 물음에 61.6%가 그렇다고 답했다. 상사의 의견대로 결론이 정해지느냐는 질문의 응답률은 75.6%였다.
회의 참석 유형에 대한 질문에 가급적 침묵한다는 '투명인간형'(39.0%)이 가장 많았다. 이어 상사 의견에 가급적 동조한다는 '해바라기형'(17.1%), 별다른 고민 없이 타인 의견에 묻어가는 '무임승차형'(12.8%) 등의 순이었다.
실제 자신의 경험을 전할 때도 지난 1주일간 참석한 회의(3.7회) 중 1.2회, 3분의 1을 거의 발언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발언했을 때도 가진 생각의 29.4%만 표현했다고 전했다.
상하관계뿐만 아니라 동료 간 수평적 소통도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의 참석자 간 신뢰 부족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대한상의는 분석했다.
실제 '내가 어떤 의견을 내도 동료들이 존중해줄 것으로 믿느냐'는 질문에 43.3%만이 동의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성과 없이 끝나는 회의도 많았다. '명확한 결론 없이 끝나는 회의'가 55.2%였고 결론이 나도 최적의 결론이 아닌 경우도 42.1%였다.
최적 결론이 아닌 이유는 '회의 주재자 위주로 결론이 나서'(29.9%), '부서 간 떠넘기기'(28.7%), '어차피 바뀔 테니 대충대충 결정'(21.9%), 'CEO 의중을 미리 고려해 결정'(19.5%) 등을 꼽았다.
부실한 결론에 회의의 46.1%는 실행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용도 폐기되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