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 문인 가운데 최고령으로 활동해온 원로시인 황금찬이 8일 오전 4시 40분께 강원 횡성의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9세.
1918년 강원 속초 출생인 황금찬 시인은 일본 다이도(大同)학원 유학 이후 강릉농고에서 교직 생활을 했다. 1948년 월간 '새사람'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51년 강릉에서 '청포도' 동인을 결성했고 이듬해 청록파 시인 박목월(1915~1978)의 추천을 받아 '문예'로 등단했다. 올해로 시력 66년째였다.
1965년 '현장'을 시작으로 '오월나무'(1969), '나비와 분수'(1971), '오후의 한강'(1973), '추억은 눈을 감지 않는다'(2013) 등 39권의 시집을 펴냈다. 시인은 마흔 번째 시집을 엮어내는 게 소원이라며 말년까지 작품활동을 했다고 제자와 유족이 전했다.
시인은 향토적 정서나 기독교 사상에 바탕을 둔 서정시부터 현실에 대한 지적 성찰이 담긴 작품까지 8천 편이 넘는 시와 수필을 썼다. 가난에 허덕이던 겨레의 슬픔을 형상화한 '보릿고개'가 널리 읽혔다.
"보릿고개 밑에서/ 아이가 울고 있다./ 아이가 흘리는 눈물 속에/ 할머니가 울고 있는 것이 보인다./ 할아버지가 울고 있다./ 아버지의 눈물, 외할머니의 흐느낌,/ 어머니가 울고 있다/ 내가 울고 있다./ 소년은 죽은 동생의 마지막/ 눈물을 생각한다.// (…)// 안 넘을 수 없는 운명의 해발 구천 미터/ 소년은 풀밭에 누웠다./ 하늘은 한 알의 보리알,/ 지금 내 앞에 아무것도 보이는 것이 없다."
고인은 양양의 시비에도 새겨진 '별과 고기'를 특히 아꼈다고 한다. "별이 뜨는 밤이면/ 밤마다 같은 자리에/ 내려앉는다./ 밤마다 고기는 별을 주워먹지만/ 별은 고기 뱃속에 있지 않고/ 먼 하늘에 떠 있다."
'동해안 시인'으로 불린 고인은 오랫동안 해변시인학교 교장으로 활동했다. 재작년에는 시인의 업적을 기리는 황금찬문학상이 제정됐고 그의 이름을 딴 문학관 건립도 추진 중이다. 제자와 후배 문인들이 그를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대하기 위한 위원회를 꾸리기도 했다.
월탄문학상·한국기독교문학상·대한민국문학상·대한민국문화예술상·대한민국예술원상·보관문화훈장 등을 받았다.
유족으로 도정·도원·애경 씨 등 2남 1녀가 있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301호에 마련됐다. 발인은 11일. 장지는 경기도 안성 초동교회묘지. ☎ 02-2258-5940.